한나라당 내에서 "쇄신이 필요한 쇄신특위"라는 말이 공공연히 나돌고 있다. 당초 원희룡 의원이 쇄신특위장 자격이 있느냐는 물음에서부터 계파별로 위원을 채운 것까지 특위 내 갈등과 반목이 반복될 것이라는 한계가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당을 개혁할 드라이브는 없고 오로지 '지도부 사퇴' '청와대 쇄신'을 부르짖은 쇄신안도 모두 원 위원장의 독단적인 뜻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쇄신특위나 쇄신해라=최근 쇄신특위 활동에 대해 의원들은 석연찮아 했다. 국민 누구도 알지 못하고, 바라지도 않는 '조기 전당대회 개최', '지도부 사퇴'만 부르짖는다는 것이다. 당내 쇄신에 신경 써도 모자랄 판에 당 밖의 일까지 신경 쓰면서 "오지랖도 넓다"는 비아냥도 터져나오고 있다.
친이계 한 의원은 쇄신특위가 "지나친 월권을 행하고 있다"며 "조기 전대가 아니라 사무총장을 필두로 한 병렬식 직제를 효율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른 의원은 "쇄신특위가 애초부터 너무 큰 직책을 스스로 맡았다고 착각하고 있는 것 아니냐"며 "대표나 원내대표의 생각이 곧바로 당론으로 결정되는 독단적 당론 결정 과정부터 바꿔라"고 주문했다. 당헌·당규의 미약한 부분을 수정하고, 직책상의 불합리한 부분을 바꾸고, 애매한 당론 결정 과정을 공식화하는 등 당내 쇄신이 먼저라는 얘기였다.
한 친박계 의원도 "원 위원장이 독단적으로 결정해 특위 내 불만이 많다던데 그게 무슨 쇄신특위냐"며 "당 지도부와 쇄신특위의 역할이 어디까지인지 합의되지 않은 상황에서 섣불리 출범시킨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화합형 대표는 누구인가=8일 원희룡 쇄신특위장이 조기 전대를 통한 '화합형 대표 추대'를 제시한 것에 대해 박희태 대표가 "대화합을 위해 대표직을 걸고 나서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서도 말들이 많다. 현재 한나라당의 가장 큰 문제는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의 갈등인데 "도대체 누가 이 둘을 화합시키겠느냐"는 것이다. 박 대표보다 이 문제를 잘 풀어낼 대안이 없다는 얘기다.
그래서 '화합형 대표는 바로 박근혜 전 대표'라는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당장 10월 재·보궐선거, 내년 지방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당헌·당규를 개정해서라도 박 전 대표를 추대해야 한다는 것. 하지만 이에 대해 친박계 의원들은 "토사구팽도 유분수"라고 펄쩍 뛰고 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