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에 살면서 '쌀 소득보전 직접지불금'(쌀 직불금)을 받으려면 경작 농지 면적이 개인은 1만㎡, 법인은 5만㎡ 이상이 돼야 한다. 또 농업 이외 소득 금액이 3천700만원 이상일 경우 쌀 직불금을 받을 수 없게 됐다.
정부는 9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쌀 소득보전법 시행령 개정안을 심의, 의결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농촌 이외 지역에 주소나 사무소를 둔 개인·법인이 쌀 직불금을 받으려면 ▷경작 면적 1만㎡ 이상(법인은 5만㎡ 이상) ▷연간 농산물 판매 금액 900만원(법인은 4천500만원) 이상 ▷농지 소재지에 2년 이상 주소나 주된 사무소를 두고 2년 이상 논농업에 종사한 농업인 등 세 가지 요건 중 하나에 반드시 해당돼야 한다.
또 신청 전년도 기준으로 농업 이외 종합소득이 3천700만원 이상이면 쌀 직불금 대상에서 제외하는 한편 직불금 부당 수령 사례를 신고하면 건당 10만원(연간 100만원 한도)을 포상하는 신고포상금제(가칭 '쌀 몰래 제보꾼')도 운영키로 했다.
정부는 또 특정 토양 오염 관리 대상 시설의 토양 오염도 검사 주기를 3년에서 5년으로 완화하는 토양환경보전법 시행령 개정안, 백두대간보호지역 중 핵심 구역에 산불, 산사태 등 산림 재해 복구를 위한 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백두대간보호법 시행령 개정안 등도 처리했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