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궁금증을 풀어드립니다]인간의 더위 한계온도

습도 낮다면 웬만한 더위는 참을수 있다

'없는 사람은 겨울보다 여름나가기 편하다'는 말이 있지만 한여름 폭염은 견디기 힘든 존재다. 특히 온난화로 기온은 계속 상승하고 있는 반면 냉방기에 의존하는 생활에 익숙해지다 보니 더위를 이기는 내성은 점점 떨어져 더위 피해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면 인간은 더위에 얼마나 강할까. 몇℃까지 버틸 수 있을까.

일반적으로 옷을 입고 있는 상태에서는 기온이 18도가 되면 신체표면에서 수분이 분비된다. 하지만 분비되는 수분의 양이 적고 곧바로 증발해 버리기 때문에 더운 줄을 모른다고 한다. 수은주가 올라갈수록 수분 분비량은 많아지고 습도가 높을수록 수분 증발 속도도 늦어져 마침내 수분 증발이 중지되는 지점에 이르게 된다. 증발하지 못한 수분이 피부표면에 땀으로 남게 되면 인간은 더위를 느낀다.

인간이 더위를 느끼는 정도는 기온뿐 아니라 습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기온과 습도의 관계를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기온이 32도, 습도가 96%면 가만히 있어도 땀이 나고 습도가 48%로 낮아지면 35도가 돼야 땀이 난다. 습도가 낮을 경우 인간은 웬만한 더위는 참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미국 공군이 우주의 극한상황에 대비해 실시한 우주비행사 훈련 때 건조한 실내에서는 알몸으로 204도, 옷을 입은 상태에서는 260도의 더위를 견뎌냈다고 한다. 생각 이상으로 한계 온도가 높음을 알 수 있지만 제한적인 상황 하에서 이루어진 것이어서 일반적인 적용은 무리다. 프랑스에서 실시한 한 실험에 따르면 사람은 65도까지는 몸을 지탱하며 살아갈 수 있지만 그 이상 온도가 올라가면 생명유지가 곤란하다고 한다. 인간은 땀을 흘리는 과정을 통해 체온을 조절하는데 기온이 극단적으로 높아지면 체온조절 기능에 무리가 와 정상 체온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여름 날씨는 기온과 습도가 모두 높은 것이 특징이다. 8월에는 수은주가 사람 체온(36도5분)보다 높이 올라가는 혹서형태를 보이면서 습기 또한 많은 상태를 유지한다. 무더위를 이기기 위해서는 주변 습도를 낮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경달기자 saran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