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미디어법 무효화 100일 장외투쟁'을 외치며 오늘로 12일째 거리를 떠돌고 있다. 지난달 28일 서울을 시작으로 부산 대구를 돌아 어제는 광주에서 집회를 가졌다. 어제 정세균 대표는 "승리의 그날까지 다른 것은 일절 생각하지 않겠다"고 했다. 9월 정기국회 등원조차 현재로서는 고려하지 않는다는 이야기인 것이다.
18대 들어 민주당은 여차하면 국회 밖으로 뛰쳐나가고 있다. 국민 머릿속에는 국회 본회의장에 앉아 있는 것보다 길거리에서 구호를 외치고 주먹을 내지르는 민주당 의원 모습들이 더 익숙할 정도다. 거리에 나설 때마다 국민들은 대체로 호의적이지 않았다. 여당 견제를 호소하는 야당을 일축하는 것이기보다 국회의원 본분을 저버린 처신에 거부감을 갖는 것이다. 그 거부감의 바탕은 국회의원은 국회 안에 위치해야 한다는 생각인 것이다.
국민의 복잡다단한 이익을 국회 안으로 수렴해 효율적으로 결론을 내라는 취지에서 우리는 대의민주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국민이 선출한 대표를 통해 대화와 타협을 거치고 의견 조정에 실패하면 다수의 결정에 승복하는 것이 대의민주주의 작동의 기본 원리인 것이다. 어린 학생들도 모를 리 없는 민주주의 원리를 깔아뭉개고 있는 게 민주당의 장외투쟁 습벽이다. 걸핏하면 거리에서 직접 국민을 상대하겠다면 정당 간판을 떼고 시민단체 등록을 하는 게 맞을 것이다.
민주당은 다음주부터 수도권 가두 홍보에 집중하고 전국에서 지역별 서명 운동을 계속할 것이라고 한다. 민주당이 주장하는 국회 본회의 투표 과정의 위법성은 자신들이 신청해 놓은 헌재의 권한쟁의심판 결과를 진득하게 기다릴 문제다. 한여름 땡볕 아래서 미디어법 원천 무효를 외친다고 해결 날 성질이 아닌 것이다. 한나라당이 주장하듯 미디어법 투쟁을 앞세워 뒤로는 10월 재보선과 내년 지방선거를 노리는 것이 아니라면 장외투쟁을 거두어들여야 한다. 국회에는 야당이 신경 써야 할 현안들이 줄을 서 있다.
국민은 강력한 야당을 원한다. 그것이 자기 이익만 고집하고 수틀리면 국회를 걷어차는 그런 야당이 아님은 민주당 스스로 알 것이다. 강력한 야당이 갖추어야 할 것은 여당을 압도하는 민생 정책, 다수 집권당의 허점을 파고드는 대안 제시가 전부다. 그를 통해 국민 신뢰를 쌓고 차기 집권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다. 국민 눈에 의원직 총사퇴와 100일 장외투쟁은 전혀 강력하지 않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