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글로벌 의료산업 R&D 집적지를 조성, 국가 성장동력화하기 위해 추진하는 첨단의료복합단지가 세계적인 의료클러스터들과 경쟁하고 성공하기 위해서는 사업비를 대폭 늘리고 초기투자비를 증액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또 의료단지 복수지정으로 투입금액이 분산될 수밖에 없어 사업추진 동력을 약화시키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예산을 대폭 증액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첨단의료복합단지의 성공조건'이란 연구보고서에서 기존 예산 계획에 따르면 연구개발비로 "신약·의료기기·임상시험·동물실험 등 7개 지원센터에 연간 30억원(10년 2천300억원)을 투자키로 했는데, 이는 극히 낮은 R&D 투자 수준으로 성공적인 연구개발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 같은 연구개발비는 미국 바이오제약연구소 스크립스 R&D비용의 1% 수준으로, 조기에 가시적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비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지적하고 있다.
의료계는 또 복수지정으로 단지별 사업내용과 예산배분에 따라 어느 한쪽의 반발이 터져 나온다면 사업 추진일정에 차질을 빚을 수 있는 만큼 인프라 건설을 위한 투자비 역시 반드시 확대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도 일단 복수지정으로 예산이 제때 반영되지 않으면 추진일정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 이 같은 점을 고려해 전재희 보건복지부 장관은 10일 첨단의료복합단지 선정 기자회견에서 투자금액을 늘리겠다고는 했다.
정부가 추정한 예산 5조6천억원 가운데 민간투자가 61%에 달해 민간 기업·연구소 등이 투자를 머뭇거릴 경우 집만 지어놓고 놀리는 격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해 의료산업 전문가들은 기술사업화와 상품화를 빨리 하기 위해서는 초기투자비가 확대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
구본호 대구시약사회장은 "화이자제약이 2007년 신약개발 연구에 투자한 돈이 76억 달러(10조원)다. 첨단의료복합단지 사업비가 민간투자를 합쳐서 5조6천억원인데 이는 글로벌 제약회사가 1년에 투자하는 돈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 의료단지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기 위해선 사업비가 크게 늘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이호준기자 ho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