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대북 원칙 지키되 대화'교류 맥 이어가야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이 16일 김정일 위원장과 만나 금강산 관광 재개 등 남북 교류 사업에 대해 합의했다. 현 회장이 북한 체류 일정을 다섯 차례나 연장하면서까지 김 위원장 면담을 이끌어내고 5개 항의 교류 사업에 합의한 것은 꽉 막힌 현대의 대북 사업에 다시 청신호가 켜진 것이다. 남북 당국의 정책 기조가 바뀌지 않는 이상 큰 기대를 걸기는 이르지만 경색된 남북 관계에도 긍정적인 신호로 봐야 할 것이다.

17일 발표된 공동보도문에 따르면 올 추석에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하고 금강산'개성 관광 재개, 백두산 관광 추진, 군사분계선 육로 통행 정상화 등 5개 항의 교류 사업에 합의했다. 그러면서 북 당국은 "남측 인원의 군사분계선 육로 통행과 북한 체류를 원상대로 회복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로써 지난해 12'1 조치로 어려움을 겪어온 개성공단 출입 문제가 다소나마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과거 북측이 일방적으로 통행을 막고 체류를 제한하는 일이 비일비재했고 앞으로도 정치적 변수에 따라 이런 제한 조치를 취할 가능성도 없지 않아 이번 합의가 철저히 지켜질지는 미지수다. 거듭 강조하건대 민간 교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미 합의된 통행과 체류의 자유는 철저히 보장해야 하고 관광객과 근로자의 안전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이번 민간 차원의 남북 교류 사업 합의를 계기로 남북이 적대적 감정의 앙금을 조금씩 털어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남북 관계 경색이 심화되면 심화될수록 회복하는 데도 그만큼 많은 시간이 걸리기 마련이다. 정부는 대북 정책의 기조인 '비핵화'를 분명히 견지하되 민간 차원의 대북 지원과 교류의 숨통은 틔워놓아야 한다. 향후 한반도 정치'안보 환경 변화에 따른 능동적인 남북 관계를 위해서라도 대화와 교류의 맥을 잇는 것은 중요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