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도화·부가가치화, 세계3대 허브로"…장자순 센터장

영남대 LED-IT융합산업화연구센터

"센터가 LED-IT융합산업화를 추진해나가는 브레인 역할을 통해 '동북아 LED-IT 허브', 나아가 '세계 3대 LED 허브'로 성장하도록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장자순(37) 영남대 LED-IT융합산업화연구센터장은 센터출범을 계기로 IT,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기존 지역 주력산업들이 LED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고도화, 고부가가치화의 기회를 갖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했다.

"전국 3대 권역(수도권, 동남권, 서남권)에 센터가 설립된만큼 차별화 하고, 선진국들과의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특별한 전략을 세워야 성공할 수 있어요."

장 센터장은 수도권 거점센터인 광교 나노소자특화팹센터와 서남권 거점센터(전북대)는 각각 디스플레이와 농업 분야에 국한된 LED융합산업화를 추진하고 있어 그 파급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영남대의 동남권 거점센터는 디스플레이와 IT, 자동차 분야 등 이미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분야에서 광범위한 융합산업의 원천기술 확보 및 상용화를 추진하기 때문에 시장규모가 크고 파급효과도 비할 바가 아니라는 것.

차별화 전략으로 장 센터장은 기존 연구센터와는 달리 '전임연구원체제'로 운영해 사업추진 및 성과 등에 대한 책임경영을 도입하고 한국광기술원, 전자부품연구원, 한국조명기술연구소, 전자통신연구원,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등 국내는 물론 LED분야의 해외 우수기관과도 협력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선진국들은 어느 한 분야에서 선점 또는 독점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융합산업에 대한 관심이 적다. 그러나 LED산업은 지능화, 다기능화, 고효율화와 저가격화의 방향으로 발전해나갈 것이기 때문에 융합기술 개발만이 살 길입니다."

장 센터장은 후발주자인 우리는 틈새시장을 잘 활용하면서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전략이 필요하고, '특허 뱅크'를 만들어 LED응용산업의 원천성 경계기술과 제품기술, 디자인기술 등을 확보하는 한편 관련 특허기술의 맵(map)을 구축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센터는 앞으로 수천억원 대의 LED-IT 융합산업 관련사업의 추진 거점이 될 것입니다. 경산에 자동차용 LED광원 클러스터와 대구에 첨단의료용 LED클러스터, 구미에 LED 디스플레이 조명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LED-IT 융합산업화 단지 모델을 만들겠습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