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신종플루 검사 병원 빨리 지정.발표해야

19일 하루 동안에만 감염자가 100명을 넘어서는 등 신종플루가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다. 수원의 한 고교가 개학을 연기하는 등 파장도 커지고 있다. 대구경북은 일주일 동안 20여 명이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모두 105명으로 늘어났고, 전국의 확진 환자는 2천320명이다. 최근 사망자 발생 뒤 검사를 원하거나 결과를 기다리는 환자가 많아 수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경로가 불명확한 지역사회 감염 때문이다. 자신도 모르는 환자들이 곳곳에서 다른 사람에게 퍼뜨린다는 뜻이다.

신종플루가 걷잡을 수 없이 퍼지고 있는 것은 정부의 안이한 초기 대응이 원인이다. 세계보건기구(WHO)의 대유행 경고에도 정부는 개인 위생 청결을 앞세운 소극적 대국민 홍보에 주력했다. 반면 백신확보나 검체(입 안의 피부 세포) 검사를 할 수 있는 병원 지정에는 소홀했다. 초기에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지정한 검체 검사 병원은 제대로 운영되지 않고 있다. 지난 주말 첫 사망자 발생 뒤 검체 검사 거점병원을 발표하기로 했으나 나흘이 지나도 감감하다. 이 바람에 보건소만 북새통이다. 정부가 거점병원 발표를 못 하는 것은 병원의 이기주의 때문으로 보인다. 신종플루 감염을 두려워해 일반 환자가 끊긴다는 것이다.

정부의 보건 행정이 갈피를 잡지 못하면 국민은 불안할 수밖에 없다. 확진 판결을 받기 전의 의심환자들이 얼마나 더 주변 사람을 감염시킬지는 상상할 수도 없다. 이는 19일 확진 판정을 받은 108명 중 82명(76%)이 지역 감염인 데서 잘 나타난다. 신종플루는 특성상 가을, 겨울에 더욱 유행한다. 정부는 거점병원을 빨리 발표해 신종플루에 대한 비상 체계를 갖추고 더 이상 지역 감염을 줄여야 한다. 백신 확보에도 총력을 기울여 국민의 불안감을 씻어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