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문화예술회관은 1981년 건립 계획이 세워져, 10년 만인 1990년 공연장이 먼저 개장하면서 그 역사를 시작했다. 개관 기념공연은 5개 대구시립예술단의 합동 무대였다. 이듬해엔 전시관이 문을 열고, 93년에는 대구예총 사무실과 시립예술단의 연습 장소 등이 있는 예련관이 건립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췄다.
건립 부지는 82년에 결정됐다. 당시로는 외곽지인 성당동 두류공원으로 낙점되자 반대도 많았다. 대구의 허파 역할을 하는 공원 부지인데다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이유였다. 문예회관 개관 이전까지 대구의 문화 중심지 역할을 했던 시민회관은 도심인 중앙통에서 걸어 10분 거리에 있었다. 반면 문예회관은 걸어서는 가기가 힘들고 대중교통을 이용해도 멀어 보였으니 '가기 힘든 곳'으로 여겨졌던 것이다.
건물은 대구예총회장을 지낸 건축가 김인호가 설계했다. 다소 가분수(假分數)처럼 보이는 지붕도 화제였지만 건물 배치는 두고두고 논란이 됐다. 전시장과 사무실 동이 전면에 배치되고 종합 문화 공간의 주축이라고 할 수 있는 공연장이 남쪽으로 치우친 까닭이었다. 당시 건축이 미술과 관련이 있어 공연장보다는 전시관 위주로 설계했다는 얘기가 떠돌기도 했다.
문예회관의 개관은 대구 문화예술계에서 큰 의미가 있다. 개관과 함께 교향악단(64년), 합창단, 무용단, 소년소녀합창단(이상 81년), 국악단(84년)에 이어 오페라단(92년)과 극단(98년) 창단의 모태가 됐고, 예총과 기간단체 사무실도 한자리에 모였다. 또 1천 석이 넘는 공연장은 현대식 무대를 갖춰 대형 공연도 가능해졌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공연장은 대구오페라하우스와 각 대학의 첨단 시설 공연장에 밀려 위상이 낮아졌다. 시설이 오래되고 의자 간격이 좁아 장시간의 대형 공연을 감상하기에 부적당한 것으로 지적되기도 했다.
문예회관 공연장이 개관 20년 만에 28억여 원을 들여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해 1일 재개관했다. 음향 시설 전면 보강과 함께 객석 간 거리를 넓히고 바닥재를 교체하는 등 관객 편의 시설에 중점을 두고 고쳤다 한다. 불편하고 좁은 의자를 참으며 공연장을 찾았던 관객 입장에서는 이제야 그 보답을 받는 셈이다.
정지화 논설위원 akfmcpf@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대선 출마하나 "트럼프 상대 할 사람 나밖에 없다"
나경원 "'계엄해제 표결 불참'은 민주당 지지자들 탓…국회 포위했다"
홍준표, 尹에게 朴처럼 된다 이미 경고…"대구시장 그만두고 돕겠다"
언론이 감춘 진실…수상한 헌재 Vs. 민주당 국헌문란 [석민의News픽]
"한동훈 사살" 제보 받았다던 김어준…결국 경찰 고발 당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