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담장허물기 20, 30가구씩 묶는다

대구시, 블록별 10억원, 꽃길·태양광·CCTV

대구 도심 주택가에 '담장 없는 마을'이 등장하게 된다.

대구시는 지역 대표 녹색 사업인 '담장허물기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주택 밀집 지역 내 20, 30가구씩 블록별로 묶어 담장을 허무는 '녹색마을 조성사업'을 내년부터 추진키로 했다.

시가 마련한 녹색마을 조성사업안에 따르면 20, 30가구를 하나로 묶어 10억원 정도의 예산으로 담장을 없앤 뒤 꽃길을 만들고 옥상 녹화 및 녹색 보행로를 설치하는 한편 태양광과 소형 풍력발전기를 설치해 친환경 마을을 만든다는 것. 또 담장 제거에 따른 주민 불안감 해소를 위해 방범용 CCTV를 설치할 계획이다.

시 자치행정과 김석동 계장은 "구·군별로 녹색마을 대상지 신청을 받은 뒤 후보지를 선정해 예산을 지원할 계획"이라며 "1, 2가구씩 추진되던 담장허물기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친환경 사업의 확대를 위해 이 같은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고 밝혔다.

시는 내년 시범 사업 이후 반응이 좋으면 국비 및 시비 지원을 늘려 녹색마을 조성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 1996년부터 시작된 담장허물기 사업은 시민 호응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지만 '예산 부족'으로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주택 담장허물기 사업의 경우 올해 예산이 3억원 정도지만 신청 가구(가구별 지원 400만원) 수는 100여 가구를 넘어섰으며 '녹색마을' 사업도 당초 20억원의 국비 지원을 받아 사업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었지만 예산 확보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시 관계자는 "담장허물기 사업 이후 주변 경관이 대폭 개선되고 당초 우려했던 범죄 문제도 거의 발생하지 않아 신청 가구나 기업은 계속 늘고 있지만 예산 확보가 쉽지 않다"며 "예전에는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적극 홍보를 했지만 최근 들어서는 신청자가 항상 예산을 초과해 대상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담장허물기 시업은 시에서 신청을 받은 후 현장 확인 뒤 대상지를 선정해 설계와 예산 지원을 하게 되며 현재까지 시는 주택과 아파트 200여곳을 비롯해 관공서와 일반 기업 176곳 등 500여곳에서 23㎞의 담장을 허물고 가로공원을 조성했다.

이재협기자 ljh2000@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