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의료칼럼]근근막 통증 증후군

주로 '담 들었다' 표현…통증 유발점 주사 효과적

근근막 통증 증후군은 일상 생활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근육통증 질환으로 어느 근육에서든지 발생할 수 있는데 보통 어깨, 목, 등, 허리 등에서 자주 볼 수 있다.

보통 근육과 근육을 감싸고 있는 결합조직에 통증과 근경련, 압통, 강직, 운동제한, 쇠약 및 종종 자율기능부전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통증 유발점이라 불리는 예민한 부분에서 통증이 유발된다. 통증 유발점은 골격근의 단단한 띠 내의 매우 예민한 부분이며 근육조직이나 근막에 위치한다.

주로 담이 들었다, 근육이 뭉쳤다, 담이 돌아다닌다 등으로 많이 표현하는데 가장 흔한 원인은 근막구조의 외상과 근육에 가해지는 급격하거나 지속적인 과부하로 활동성 통증 유발점이 형성되거나 잠재적 통증 유발점이 활성화되어 통증이 발생한다.

운동을 과도하게 하거나, 컴퓨터 관련 작업이나 텔레비전 시청을 불안정한 자세로 하거나, 근골격계의 지속적인 스트레스, 스포츠 손상, 경부나 요부의 염좌, 과도한 정서적 스트레스, 디스크 등에 의한 척수신경 자극증상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증상으로는 지속적인 통증, 굳고 아픈 근육, 운동범위의 제한, 전반적인 피로 등이 있는데 환자는 근육통이 아닌 두통이나 경부 통증, 관절 통증, 요통, 둔부나 하지의 통증을 호소하기도 하며 만성화 시 현기증, 왜곡된 지각, 우울증, 수면 장애가 동반되기도 한다.

초기 경증인 경우 찜질이나 마사지, 물리치료, 약물치료로 쉽게 치료되나 만성화되면 통증 유발점이 섬유화되어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으며 호전되더라도 자주 재발하고 이때는 통증 유발점 주사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이다.

치료는 기본적으로 통증 유발점을 불활성화시키면서 지속된 통증에 의한 통증의 악순환 고리를 차단하는 것으로 통증 유발점 주사, 신장 분무 요법과 교감신경계 차단 주사, 물리치료와 근육 재활치료를 통한 정상적인 근육기능의 회복에 목표가 있다.

하재현(구미 현대병원 과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