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시험을 치를 때까지 수험생들은 2학기 수시모집에 지원하거나 전형에 참가한 외에 특별히 입시 자체에 신경을 쓸 시간이 많지 않았다. 올해는 특히 수능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지금까지 수능 대비에 주력해온 게 현실이다. 수능을 끝낸 지금부터는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해 지원 전략을 세우고 대학별 전형에 대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입시 전략을 세울 때 유념해야 할 핵심 사항을 짚어봤다.
◆정확히 채점하되 속단하지 말라=입시 전략 수립은 자신의 전형요소를 정확히 분석하는 데서 출발한다. 수능일의 기억을 떠올려 최대한 정확하게 가채점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간이 지날수록 애매한 문제는 자신이 어떤 답을 선택했는지 불분명해지므로 최대한 빨리 문제지를 구해 자신의 원점수를 파악해야 한다.
원점수는 수능 문제 자체의 배점을 계산한 결과일 뿐 대입 전형에서는 표준점수와 백분위, 등급을 활용하므로 원점수 총점에 울고웃어서는 안 된다. 입시기관들이 발표하는 수험생들의 가채점 결과를 꼼꼼하게 살펴 자신의 객관적 위치와 예상 표준점수를 가늠해봐야 지원 가능 대학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대학들의 수능 활용방법이 제각기 다른 점도 수험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천차만별로 나타난다. 표준점수를 활용하느냐, 백분위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유·불리가 달라질 수 있고 수리 영역 가중치 부여 여부, 사회·과학탐구 반영 영역 수 등에 따라 수능 총점과는 전혀 다른 결과를 빚을 수도 있다.
수능에서 자신의 실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했다고 과도하게 소신지원한 뒤 재수를 하겠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입시기관들이 각기 다르게 발표하는 가채점 결과나 영역별 점수 등락, 예상 등급 컷 등을 믿고 지원 전략을 수립하는 것도 금물이다.
◆입시기관 배치표는 넓게 활용하라=수능 성적이 발표되기 전에도 입시기관들은 자신들이 분석한 수능 난이도, 학교나 학원에서 입수한 가채점 결과 등을 바탕으로 배치표를 만들어 수험생들에게 제공한다. 최근에는 온라인을 통한 서비스가 활발하다. 일부 업체에서는 수험생들이 자신의 영역별 가채점 점수와 학생부 성적 등을 입력하면 강·약점을 분석해주고 전략 수립에 필요한 내용들을 정리해주는 곳도 있다. 지원 가능 대학을 보여주거나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합격 가능성을 예상해주는 서비스는 대부분의 온라인 업체에서 제공한다.
특별히 의지할 만한 객관적 기준을 찾기 힘든 수험생과 학부모들은 이 같은 배치표나 온라인 서비스에 의존할 수밖에 없지만 가급적 넓은 범위에서 판단해야 한다. 입시기관들이 아무리 85% 합격선을 제시한다고 해도 정확한 자료가 나오지 않은 현 시점에서는 모든 게 추정치일 뿐이다. 제시되는 결과를 지원 안정이나 불합격선 등으로 속단하지 말고 유·불리를 판단하는 기준 정도로 여겨야 한다.
추정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험생들이 많이 찾는 서비스 업체를 찾는 것이 좋다. 여러 업체를 이용한다고 해서 신빙성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 이때도 상당수 모의 지원자들이 과장해서 지원하거나 점수를 다르게 기재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판단해야 한다. 이 같은 자료를 입수한 뒤에는 고3 담임교사나 진학담당 교사, 전문기관 상담 등을 통해 종합적으로 지원 전략을 점검하는 것이 좋다.
◆앞으로 변수는 많다=수능, 학생부 등 개인별 전형요소는 거의 결정난 상황이지만 입시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감안해야 할 변수도 대단히 많다. 정시모집에서 가, 나, 다군에 걸쳐 3차례 지원할 수 있다는 점만으로도 변화의 여지는 크다. 올해 경우 상위권 대학 상당수가 다군에서 빠져나와 가, 나군에 몰렸기 때문에 지난해와는 전혀 다른 경쟁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대학 내 모집단위별로 경쟁률이 각기 다를 수밖에 없다는 사실도 유념해야 한다. 올해는 또 학부 단위 모집이 줄고 학과 단위 모집으로 전환한 대학들이 여럿 있다. 이들 대학은 자체 경쟁률뿐만 아니라 같은 모집군 내에 있는 다른 대학의 경쟁률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감안해야 한다.
올해 경우 전반적인 변수도 드러나 있다. 수험생 수가 대폭 늘었다거나 수능 반영 비중이 높아졌다거나 하는 점이다. 하지만 수험생 스스로 크고 작은 변수를 파악하고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입시설명회에 참가하고 온라인에 제공된 지원 전략 자료나 예년 경쟁률 관련 자료 등을 충분히 입수해 판단할 여지를 넓혀야 한다. 학교나 입시기관의 전문가들이 예상하는 변수에도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김재경기자 kj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