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가노라 닫지 말며
김 천 택
잘 가노라 닫지 말며 못 가노라 쉬지 말라
부디 긎지 말고 촌음(寸陰)을 아껴 쓰라
가다가 중지곳 하면 아니 감만 못하니라.
"잘 갈 수 있다고 하여 뛰어 달리지도 말고, 잘 못 간다고 포기하며 쉬지도 마라. / 아무쪼록 그치지 말고 계속하여 짧은 시간이라도 아끼어 보라 / 만일 시작해 가다가 중간에서 그만 두면 그것은 처음부터 아니 간 것만도 못하리라" 로 풀리는 시조다.
남파(南坡) 김천택(金天澤)의 작품이다. 평민출신으로 창곡에 뛰어났으며, 김수장 등과 경정산가단(敬亭山歌壇)에서 후진을 양성하였다. 1728년에 '청구영언'을 편찬, 시조 정리와 발전에 공헌하였다. 그의 작품은 '청구영언'에 30수, '해동가요'에 57수가 전하는데 이 가운데 14수가 겹쳐 남긴 작품은 73수다. 생몰연대가 밝혀져 있지 않은 기록도 많으나 심재완 '정본시조대전'에는 1687년(숙종 13년)~1758년(영조 34년)으로 밝혀져 있다.
숙종 때 포교(捕校), 즉 포도청에 속하여 범죄자를 잡아들이거나 다스리는 일을 맡아보던 벼슬아치를 지낸 것으로 기록된 곳도 있다. 따라서 포교의 직책을 가지고 가인으로 활동했을까 하는 의문이 있는데, 젊었을 때 잠시 관직에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지만 시가사상(詩歌史上) 최초로 '청구영언'을 편찬하여, 시조의 정리와 발전에 공헌한 사람이라는 사실은 분명하다.
이 작품은 무슨 일이든 중단하지 말고 꾸준히 끈기 있게 해나가야 성공의 기쁨을 맛볼 수 있다는 교훈성이 강한 작품이다. 뜻을 세웠으면 끝까지 밀고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초장에서는 '중용'(中庸)을 강조한 듯도 하지만, 종장에서는 중단 없는 전진을 역설하고 있다. 특히 종장 같은 경우는 문학 작품이지만 경구적 성격이 더 강하다. 많은 사람들이 뜻을 세워 시작은 했지만 중도에서 포기하고 마는 것을 경계하고 있는 것이다.
누구에게나 시작은 있었으나 끝을 보지 못한 일이 있을 것이다. 결과로 나타난 좋은 것만 보고, 그 결과에 이르기까지의 보이지 않는 노력은 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너무나 뻔한 이치를 담은 것 같지만 그 가락이 유연하고 내용이 삶의 진리를 담고 있다. 무슨 일이든 좋아보여서 시작했다가 그만두는 일 경험하지 않은 사람 드물 것이다. 이 작품을 해설하는 필자도 뒤통수가 간지러워지는 것을 숨기기 어렵다.
문무학 시조시인·경일대 초빙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