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세종시를 교육과학 경제중심도시로 수정조성하려는 방안에 따라 대구경북지역 산업단지의 기업유치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구미시가 구미 국가산업5단지 992만㎡(300만평)규모에 대해 대기업이 직접 개발사업에 참여하고 입주할 수 있는 개발방식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 같은 국가산업단지 개발 방식은 종전에 없던 것으로 대기업은 산업용지 조성공사에 직접 참여, 개발이익금을 얻고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산업용지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남유진 구미시장은 26일 구미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조찬회에서 "세종시 수정안으로 기업유치에 큰 어려움이 예상됨에 따라 내년 초 착공할 구미 국가산업5단지조성에 삼성, LG, 현대 등 건설사를 계열사로 둔 대기업들이 직접 참여하고 입주할 수 있는 개발방식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남 시장은 "특혜 등 시비가 있을 수 있지만 기업유치가 관건인 만큼 이를 희망하는 대기업이 있다면 수십만평이 넘는 면적이라도 그렇게 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구미 5단지 조성사업의 시행사인 한국수자원공사는 세종시 수정안에 따른 기업유치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기본 원칙에는 동의한다는 입장 아래 이 같은 개발방식을 놓고 구미시와 협상에 나섰다.
이와 함께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26일 "정부의 세종시 건설로 기업의 지역투자 철회 등이 예상된다면 모든 조치를 강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이날 경북도의회 김수용 의원의 세종시 대책에 대한 도정질의에 대해 "세종시로 인해 지역의 혁신도시, 경제자유구역, 공단 등에 대한 기업의 투자 철회와 기존 기업의 이전이 예상된다면 지역을 살리겠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모든 조치를 강구할 계획"이라고 공식적인 첫 입장을 나타냈다.
김 지사는 "정부가 세종시 자족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여러 대안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지방의 기업유치와 기존 국책사업 추진에 차질을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세종시 수정안이 국가 전체의 경쟁력 제고와 자족기능 강화를 위한 고육지책이란 점은 이해하지만, 이 계획이 경북을 비롯한 지방의 경쟁력을 약화시켜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특히 "세종시와 지방,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상생 발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돼야 하고, 지방의 기업유치나 기존 국책사업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포항경실련은 26일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된 행정, 경제 등을 분산해 지방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계획됐던 세종시가 오히려 지방을 죽이는 독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포항경실련은 "세종시 수정안이 행정복합도시에서 과학중심경제도시가 되든 어떤 형태의 다른 계획도시가 되든지 간에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된 각종 인프라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창희·김병구·이상원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