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금리가 상승세를 타면서 1년새 가장 높은 수준인 6%대로 올라갔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달 금융회사 가중평균금리 동향에 따르면 신규 취급액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평균금리는 연 6.05%로 전달의 5.96%보다 0.09% 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금리가 6% 이상으로 오른 것은 2008년 12월(7.01%) 이후 처음이다. 이중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5.77%에서 5.90%로 0.13%p, 500만원 이하 소액대출 금리는 6.86%에서 7.19%로 0.33%p 각각 상승했다. 대기업 대출금리는 5.67%로 전달의 5.55%보다 0.12%p 올라갔고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5.85%에서 5.89%로 0.04%p 상승했다.
그러나 잔액과 신규취급액을 합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4.65%로 그리 높지 않으며 이미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사람들의 경우, 낮은 수준의 금리를 적용받고 있다고 한국은행은 설명했다.
예금 금리도 올라가는 추세다. 순수저축성예금의 평균 수신금리는 신규취급액 기준 3.47%로 전달의 3.27%보다 0.20%p 올랐다. 정기예금은 0.20%p 오른 3.47%, 정기적금은 0.27%p 상승한 3.42%, 상호부금은 0.18%p 오른 3.40%였다.
시장형 금융상품의 평균 수신금리는 연 3.44%에서 3.60%로 0.16%p 올랐다. 양도성예금증서(CD) 금리는 0.20%p 상승한 3.49%였고 환매조건부채권(RP)은 0.06%p 떨어진 2.69%였다.
이에 따라 신규취급액 기준 예대금리차(수신-대출 금리)는 2.37%p로 전달의 2.49%p보다 축소됐다. 잔액기준 예대금리차는 2.45%p로 전달의 2.27%p보다 확대되면서 2008년 12월의 2.70%p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비은행 금융회사의 대출금리를 보면, 상호저축은행이 연 12.02%로 전달의 11.69%보다 0.33%p 올라갔고 신용협동조합은 0.11%p 상승한 7.82%, 상호금융은 0.07%p 오른 6.87%였다.
예금금리는 상호저축은행이 0.11%p 상승한 5.14%였고 신용협동조합은 0.25%p 오른 4.73%, 농·수·축협 등 상호금융은 0.22%p 상승한 4.46%였다.
최경철기자 koala@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