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생명공학 정책과 국내외의 최근 연구동향 등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2009 생명공학백서'가 발간되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생명공학 분야 정책방향과 주요 추진활동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일반 국민이 쉽게 정부의 생명공학 분야 정책을 이해할 수 있도록 '생명공학백서'를 2003년부터 격년으로 발간하고 있다.
2009 생명공학백서(사진)에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통한 생명공학의 전망이 특집으로 구성되어 있고 생명공학의 비전(제1장), 세계 주요국의 생명공학 동향(제2장), 국가 생명공학 육성 현황(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 및 관련 산업 현황(제4장), 생명공학 관련 법제도 현황(제5장) 등이 소개되어 있다.
◆ 백서에 따르면, 2009년도의 정부부문 생명공학 투자 계획 총 예산안은 2008년 대비 19.2% 증가하였으며, 1994년부터 2008년까지 정부부문 생명공학 투자는 연 증가율 26%로 나타나고 있다.
◆ SCIE 국외저명학술지 게재 논문건수로 본 과학 기술 논문 창출 실적은 1994년 420건에서 2008년 5,755건으로 연평균 20.6%의 증가세로 급성장 하고 있으며, 2008년 논문게재 세계 순위 11위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6년에는 무난하게 7위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한편, 바이오산업 핵심 연구인력 양성 현황은 2008년 9,698명으로서, 2016년 목표인 17,300명의 56% 수준을 달성하였다. 특히 박사급 인력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바이오산업의 성장으로 고급인력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또한 생명공학 기술과 이를 활용한 제품들이 일상생활과 산업 전반에 깊숙이 자리하는 바이오경제(bioeconomy) 시대가 올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이에 대비한 정부의 생명공학육성 정책 추진과 더불어 생명과학, 보건의료, 바이오융합, 농축산·식품 등 분야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백서 내에 수록된 그림, 표 등의 데이터를 별도의 CD(콤팩트디스크)로 제공하는 한편 공공기관과 주요 도서관 등에 배포하고, 교육과학기술부 홈페이지(http://www.mest.go.kr)에서 전자책(e-book)으로도 볼 수 있도록 하여 일반 국민들이 보다 쉽고 편하게 백서를 열람?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뉴미디어본부 cklala@naver.com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