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세종시 입주 대기업에 30만원대 후반에 원형지 공급하는 지원 방안 확정

세종에 입주하는 대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방안이 확정됐다. 세종시 최종 수정안은 오는 11일쯤 발표될 예정이다.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공동위원장 정운찬, 송석구, 5일 현재 세종시민관합동위원회 홈페이지 참고)는 세종시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거점 지구로 육성한다는 방침 아래, 대기업이 세종시에 들어올 경우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원형지 형태의 토지를 3.3제곱미터당 30만 원대 후반에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소규모 투자자에게 공급할 땅값도 인근 산업단지의 공급가를 감안해 3.3제곱미터당 50만 원에서 100만 원 사이의 가격에 공급하기로 했다.

민관합동위는 또 세종시에 들어설 신설기업에게 소득세와 법인세를 3년간 전액 면제해주는 등 기업도시 수준의 세제혜택을 부여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수도권에서 이전하는 기업에게는 투자와 고용 관련 보조금을 국고에서 70억 원까지 지원하고, 대학에도 건축비 일부를 지원하는 방안을 건의하기로 했다.

정부는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가 논의한 이런 내용의 초안을 내일(6일)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한 뒤, 오는 11일쯤 최종안을 발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종시에 입주하는 주요 기업으로는 의약분야 사업에 진출하려는 삼성과 웅진그룹 등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으나 정부는 "입주가 최종 결정된 기업은 아직 없다"고 밝혔다.

한편 세종시에 공급할 땅값과 관련 세종시민관합동위원회는 공급가격이 인근 산단보다 40만원 가량 싸다는 해명 내용을 공지해놓고 있다.

해명내용을 보면, 대기업 등 대규모 투자자의 경우는 중소기업과 달리 토지를 조성하지 아니한 나대지 상태의 원형지로 공급키로 하였으며, 이는 투자자가 본인의 사업 목적에 맞게 직접 개발하여 토지활용의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덧붙여서 원형지를 공급받은 대기업 등은 추가로 인프라 구축, 부지조성 등을 위해 공사비(38만원/3.3㎡)를 투자해야 하므로, 추가로 투입되는 공사비를 제외하고 토지공급가격을 책정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밝힌 세종시민관합동위원회는 따라서 개발비용을 감안하면, 실제 공급가격은 70-80만원 수준이라고 강조하였다.

뉴미디어본부 최미화 기자 cklala@naver.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