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처음으로 대법원의 존엄사 허용 판결로 연명 치료 장치를 제거한 김 모 할머니가 10일 오후 사망했다. 장치를 제거한 지 201일 만이다. 김 할머니는 대법원의 판결과 연명 장치를 제거하면 일주일 내에 사망할 것이라는 의료진의 판단과는 달리 201일이나 생존함으로써 생명의 신비함과 존엄성을 다시 한 번 보여줬다.
지난해 5월 김 할머니에 대한 대법원의 존엄사 허용 판결은 많은 논란을 불렀다. 사람의 생명이 달린 문제를 사람이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과 무의미한 연명 치료는 본인은 물론, 가족에게 엄청난 고통을 주기 때문에 존엄사를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부딪쳤다. 각 의료단체와 병원은 이에 대한 지침서를 만들고, 국회는 존엄사 관련 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하지만 김 할머니의 오랜 생존은 이러한 논란을 뛰어넘었다. 연명 치료를 중단하면서 오히려 자발 호흡을 시작했고, 의료진은 인공호흡기를 사용했다면 더 오래 생존했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연명 치료를 중단하면 곧 사망할 것이라는 처음의 의학적 판단이 잘못됐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직도 존엄사에 대한 논란은 진행 중이다. 연명 치료 중단 방식과 그 대상을 법으로 규정하는 것이나 본인의 의사를 알기 힘들 경우 누가 그 결정권을 갖느냐 하는 문제다. 또 식물인간 상태의 포함 여부나 연명 치료의 범위에 대한 주장도 다양하다. 정부는 국회와 종교계, 의료계, 법조계 인사로 태스크포스를 만들어 논의 중이다. 하지만 어떤 지침을 만들더라도 그 바탕은 인간의 존엄성이 돼야 한다. 인간의 생명을 인간의 잣대로 판단하는 것은 어리석고 위험한 짓이다. 하지만 불가피하다면 최대한 엄격하게 규정하고, 사회적 동의를 얻는 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