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소비자 신뢰 높이는 자발적 리콜

국내 자동차업계가 제품의 결함을 스스로 인정하고 점검'교환'수리해 주는 데 인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나라당 정희수 의원의 분석 결과 2006년부터 올 3월까지 리콜이 실시된 차량 51만 5천여 대 중 국토해양부에 의해 강제 리콜된 차는 17만 7천여 대로 전체의 34.5%를 차지했다.

이는 자동차업계에만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 국내 제조업계 전반에 공통된 현상이라는 것이다. 공정거래위원회 집계에 따르면 국내 리콜 건수는 2006년 134건, 2007년 329건, 2008년 544건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하지만 이 중 자발적 리콜은 2007년 135건에서 2008년 89건으로 크게 줄었다.

기업이 자발적 리콜을 꺼리는 것은 기업 이미지 저하와 소비자 신뢰 실추 때문이다. 이는 경우에 따라 기업의 사활을 좌우하기도 한다. 하지만 자발적 리콜이 오히려 전화위복이 된 사례도 많다. 지난 1982년 진통제인 타이레놀에 독극물을 넣은 범죄로 8명이 사망하자 존슨 앤 존슨이 미국 전역의 타이레놀 310만여 병을 과감히 회수해 위기를 벗어난 것은 물론 타이레놀이 연간 15억 달러의 매출을 올려주는 효자상품이 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그래서 미국, 유럽 등에서는 자발적 리콜을 하면 할수록 소비자 신뢰가 높아진다고 한다.

제품의 결함은 해당 업체가 가장 정확히 안다. 자발적 리콜이 가장 신속한 조치를 취해 소비자 피해를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부에 의한 강제 리콜은 결함 조사, 분석, 입증을 거쳐 리콜 명령을 내리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그러는 사이 피해가 확산될 수 있다.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도 못 막게 되는 사태가 생기는 것을 도요타 자동차가 잘 보여줬다. 이 같은 점에서 우리 업체는 자발적 리콜에 과감히 나서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