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속 폭군들은 많다. 일국의 제왕이면서 사이코패스(Psychopath)적인 폭력성을 지닌 이들의 공통점을 보면 대개 어릴 적 권력을 둘러싼 음모와 암투, 살인 등 환경적 요인이 나중에 비뚤어진 인격장애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러시아에서 차르(Czar)라는 호칭을 최초로 사용한 이반 4세 바실리예비치(1530~1584)도 예외는 아니었다.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세살 때 즉위해 어머니가 5년간 섭정을 했다. 어머니는 이반의 삼촌들을 처형했으며 결국 자신도 독살을 당했다. 황제라고는 하나 고아에 불과한 그를 귀족들은 누더기 옷에 식사도 제대로 주지 않고 쥐어박거나 심심풀이로 밀실로 끌고 가 고문을 자행했다. 고작 황실 행사 때만 제대로 된 옷을 입혀 꼭두각시 인형처럼 예우하기 했으나 행사가 끝나면 다시 천덕꾸러기로 돌아가기 일쑤였다.
1547년 열일곱살 때부터 친정(親政)하면서 복수의 칼을 들고 귀족들을 탄압, 공포정치를 실시하는 등 강력한 중앙집권국가를 수립했다. 영국과 통상관계를 맺고 시베리아를 정복해 동방의 길도 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며느리를 때려 유산시키고 이를 저주하는 아들을 사정없이 폭행해 죽게 하는 등 신경질적이며 잔인한 성격을 끝내 버리지 못했다. 말년의 고독 끝에 1584년 오늘 사망했다.
우문기기자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