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를 만들기 때문에 차별이 생깁니다. 아이들의 시각으로 보면 아이들 각자가 독자적으로 성장하는 것뿐인데 말이죠. 뒤떨어졌다든지 특수하다든지 하는 구별은 하지 않아요."
핀란드 교육현장에서는 누구나 이런 말을 한다. 목표지점은 같지만 아이들이 배우는 속도는 모두 다르다, 교사는 아이들이 자신의 속도에 맞추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최대한 도와준다. 언론을 통해 여러 번 소개되면서 핀란드식 교육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다. 세계 최고의 학력을 자랑하면서도 아이들 한 명 한 명이 행복하게 학습한다는 핀란드. 어떻게 그런 일이 가능한 것일까?
일본의 교육학자이자 츠루문과대학 비교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후쿠다 세이지의 을 읽었다. 교육학자답게 구체적인 교육현장인 교실을 방문하여 수업 진행과정을 지켜보면서 핀란드 교육의 실제를 꼼꼼히 기록했다. 교실의 크기, 시간표, 수업 분위기, 교사의 태도, 아이들의 반응 등. 글 사이사이에는 비상교육연구소 박재원 소장이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한국의 교육실정과 비교하고 자신의 생각을 덧붙여 흥미롭게 읽을 수 있도록 배려했다.
무엇보다 핀란드 아이들은 스스로 공부한다. 공부는 자신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핀란드에서는 배움을 강요하지 않지만, 누구든 스스로 공부하겠다는 의사만 있으면 쉽게 배울 수 있도록 교재가 치밀하게 개발돼 있다. 한국은 다양한 차이를 제도화해 경쟁을 통해 탈락자를 선별하는 데 유리한 방향으로 제도를 만들어간다. 반면 핀란드는 최대한 차이를 줄여서 진정한 교육을 위한 제도를 발전시키고 있는 중이다.
핀란드의 핵심적인 교육과제는 공부 못하는 학생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다. 반면 한국은 공부 잘하는 학생에게만 사회적 관심이 집중돼 있다. 핀란드의 교육제도가 불리함을 만회할 수 있게 최선을 다해 돕는 시스템이라면 한국은 불리한 학생들을 가급적 일찍 탈락시키는 시스템이다. 핀란드에서는 각자가 자발적으로 이끌어가는 과정이 공부라고 생각한다. 학습은 스스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수준 차이는 전혀 문제삼지 않는다. 협동 학습을 통해 외려 아이들이 서로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상대방을 경쟁자로 인식하게 하는 분위기와 함께 노력해서 같이 성장하자는 분위기는 분명 다르지 않을까? 그런 분위기의 차이는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력을 발휘할까? 경쟁 스트레스로 인한 학습 효과의 무력화는 이미 과학적으로 많이 검증되고 있다. 지나친 스트레스는 두뇌의 학습 및 면역 활동을 교란시켜 생각보다 심각한 역작용을 일으킨다고 한다.
핀란드의 교사들은 어떨까? 핀란드 교사들에게는 우리의 대학 교수에 걸맞은 사회적 지위가 주어져 있다. 급여 수준이 우리보다 더 높은 게 아니라 존경과 신뢰 면에서 대학교수에 버금간다는 말이다. 핀란드 교육의 중심에는 학생은 물론 학부모, 지역사회, 그리고 국가로부터 절대적인 신뢰와 지지를 받고 있는 교사들이 있다. 교실 현장에서 학생들의 지지를 회복하기 위해 핀란드를 벤치마킹할 경우 가장 시급한 것이 바로 교육에 대한 권한과 책임이 교사들에게 이양되는 것이다. 교사들이 교육에서 자기주도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최대한 배려하고 노력해야 한다.
(새벗도서관 관장)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