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천안함 희생 장병들이 우리에게 남긴 과제

천안함 침몰 사건 희생 장병 46명의 영결식이 오늘 평택 해군 제2함대사령부에서 해군장으로 엄수됐다. 정부는 오늘을 국가 애도의 날로 정했고 기관과 가정에서도 조기를 게양, 천안함 46용사를 추모했다. 전국에 마련된 합동분향소에는 장례 기간 중 수많은 시민들이 찾아와 희생 장병들의 넋을 기렸다. 영결식은 끝이 났지만 천안함 사건은 끝나지 않았다. 천안함과 희생 장병들이 우리에게 남겨준 과제는 지금부터 시작이다.

아직 공식 발표는 없지만 천안함 사건이 북한의 소행이라는 심증은 굳어지고 있다. 망각하고 있었던 북한의 실체가 우리 앞에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그동안 우리는 대북 관계 개선이라는 화두에만 매달렸을 뿐 북이 우리를 노리고 있다는 사실을 잊고 살았다. 천안함 침몰은 그 결과다. 관광길이 열리고 공장을 돌리면서 우리는 북한을 너무나 순진하게 바라봤다. 우리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계 고위직 사람들이 김정일과 악수하고 웃는 모습에서 우리는 북한이 바뀐 줄 알고 있었다.

천안함 사건은 우리 스스로의 안보의식도 되돌아보게 한다. 우리 군이 사건 이후 보여 준 모습들은 국민들을 안심시키기에 부족했다. 대다수 장병들의 애국심과 군인정신은 여전히 살아 있지만 군 지휘부의 갈팡질팡하는 모습은 국민들의 실망을 불러왔다. 우리 정부와 군이 숱하게 외쳐 온 '대양해군'의 구호는 실상과 거리가 있다는 것을 알게 했다. 대북 관계 개선과 반대로 우리 군의 사기는 떨어지고 있었다는 사실도 재확인했다.

천안함 희생 장병은 오늘 우리 곁을 떠났다. 그러나 그들의 희생은 그냥 사라지지 않아야 한다. 그들의 희생을 계기로 우리는 내일을 준비해야 한다. 정부와 군은 물론 국민들도 다 함께 유비무환의 정신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래야 오늘 영면한 장병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는다. 희생 장병들의 명복을 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