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中企 활성화, 정책자금 확대 가장 절실

대구경북 중소기업 3곳 중 1곳이 지역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과제로 중소기업육성 정책자금 확대를 꼽았다.

이런 결과는 중소기업중앙회 대구경북지역본부가 15∼23일 대구경북 중소제조업체 234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대구경북 중소기업 활성화 과제 설문조사'에 따른 것이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역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복수응답)로 ▷중소기업육성 정책자금 확대(63.7%)가 가장 많았고 ▷지역 선도산업 등 지역 주력사업 활성화(41.9%) ▷지방공단 등으로의 인력유입 지원 및 주거여건 개선(38.0%) 등의 순이었다.

지역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해 중앙정부가 중점 추진해야할 과제로는 ▷지방재정 지원확대(46.6%) ▷수도권과 타지역 간 개발편차 시정(32.5%) ▷중소기업 인력확보 지원(30.3%) 순으로 응답했다.

대구경북 중소제조업체의 경영상황을 물어본 결과, 응답 업체의 39.7%가 '어렵다'(매우 어렵다 8.1% + 다소 어렵다 31.6%)고 응답한 반면 '원활하다'고 응답한 업체는 24.0%에 불과했다.

중소기업 5곳 중 2곳(40.3%)에서 원자재가 상승 및 구득난을 가장 큰 경영애로로 지적했고, 이어 제품 및 가격경쟁력 저하(38.2%), 인건비·물류비 등 경영 제비용 증가(34.3%) 순으로 응답한 반면 환율하락(9.0%), 수출부진(3.9%)은 비교적 낮은 응답을 했다.

국내 기업활동 인프라에 대한 중소기업들의 만족도는 보통이다(61.5%)가 가장 높은 가운데 만족한다는 응답비율은 12.8%로 나타났다. 분야별로는 ▷물류·교통 인프라(35.5%)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인력확보 용이성(7.7%)분야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기업활동 인프라 전반에 대한 중소기업 만족도에서 대구경북은 12.8%로 비수도권 지역 중 경남(15.2%)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는 4번째로 높았다.

남명근 중소기업중앙회 대구경북지역본부장은 "현재 지역 중소기업들이 회복 국면에 접어들고 있으나 원자재가격상승, 인력난, 환율불안 등으로 여전히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어 지자체에서는 중소기업이 활력을 되찾을 때까지 재정지원을 아끼지 많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대구경북이 전국적으로 기업활동 인프라가 잘 조성되어 있는 편이므로 지자체에서는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우수한 기업들이 많이 유입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진만기자 fact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