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알고보면 더욱 재밌다" 5大 개표 관전 포인트

한나라 독주 속, 무소속 바람 어디까지?

선택의 날이다. 이번 지방선거는 '천안함 선거'로 불릴만큼 모든 이슈가 천안함에 묻혔다. 대구경북은 역대 선거 중 '가장 재미없는 선거'로 불렸다. 대구시장, 경북도지사 선거가 한나라당 독주 상태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찬찬히 들여다보면 재미도 있다.

▷단체장 선거 한나라당과 현직 누가 이길까?

한나라당 공천을 받지 못한 많은 단체장들이 무소속 출마했다. 현직 프리미엄으로 무풍(無風-무소속 바람)을 일으켰다. 봉화(엄태항), 영주(김주영), 문경(신현국) 등 경북 북부에다 칠곡(배상도), 경산(최병국)까지 단체장 출신 무소속 후보의 기세가 만만찮았다. 대구 서구(서중현)와 수성구(김형렬)에서도 무소속 후보가 선거 종반까지 선전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도 한나라당 공천자와 단체장 출신 무소속이 대부분 접전을 벌였다. 무소속 당선 뒤 한나라당 입당이 예정돼 '그 나물에 그 밥 아니냐'는 관측도 있지만 표면적으로는 한나라당 일당 독주를 막는 역할을 톡톡히 했다는 평가다. 한나라당은 어차피 같은 보수라는 시도민의 눈을 의식, "무소속 후보의 당 입당은 불가하다"고 선을 그었다.

▷경북 북부권 무소속 벨트 결과는?

울진, 봉화, 영주, 문경 등 경북 북부권에서 무소속 바람이 거셌다. 경북 북부를 그래서 '무소속 벨트'라고 불렀다. 한나라당은 이곳에 전력을 집중 투하할 정도로 선거운동 내내 골머리를 앓았다. 전통적으로 야성(野性)이 강한 지역인데다 현역 단체장이 공천에 떨어진 곳이 많아서다.

울진은 3선 군수에 도전하는 김용수 한나라당 후보와 친박을 표방한 임광원 무소속 후보가 접전을 벌였다. 영주와 봉화는 현역 시장·군수(김주영·엄태항)가 한나라당 공천을 받지 못해 무소속으로 출전, 장욱현·박노욱 한나라당 후보와 싸웠다. 문경은 이한성 한나라당 의원과 무소속 신현국 문경시장 후보의 갈등 관계가 선거전 전체를 지배하는 주요인이 됐다.

▷한나라당 싹쓸이할까?

결국 이목은 '한나라당 싹쓸이'로 집중된다. 대구경북이 한나라당 텃밭이라고 하지만 지금껏 싹쓸이한 적은 한 번도 없다. 정치판에서는 '구멍의 저주'로 회자된다. 늘 생각지도 않은 곳에서 싹쓱이판에 구멍이 났다는 얘기다. 이번에도 싹쓸이가 불가능하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심지어 대구와 경북에서 5곳 이상의 구멍이 날 것이라는 비관론도 있다.

▷친박 마케팅 먹힐까?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선거운동 기간 머문 대구 달성군으로 친박을 내건 후보들이 너도나도'순례길'에 올랐다. 한나라당 후보 뿐만 아니라 친박연합, 미래연합 등 친박 표방 정당과 무소속 후보들까지 구분이 없었다. 게다가 정당색 표방이 금지된 교육감, 교육의원 후보들도 '박근혜 바람'업기에 몰두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고향인 구미에서는 심상치 않은 박풍 조짐이 일자 한나라당 국회의원과 후보들이 '짝퉁 친박론'을 제기했다.

▷여풍(女風)이 일까?

윤순영 한나라당 대구 중구청장 후보가 재선을 노린다. 첫 여성 청장이기도 한 그가 계속 기록을 갱신할지 주목된다. 광역의원으로 대구에서 김화자(중구1) 후보는 3선에 도전하고 정순천(수성1)·김덕란(수성3) 후보는 재선에 도전한다. 경북에서도 비례대표를 지낸 채옥주(포항6)·최윤희(구미3) 후보가 재선에 도전한다. 한혜련(영천1) 후보는 3선에 도전장을 냈다. 이번 선거에 도입된 여성공천할당제가 활성화되면 여성 정치인들이 더욱 약진할 전망이다.

서상현기자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