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교육감과 교육의원 선거는 막판까지 부동층이 유권자의 절반에 이를 정도로 '표심'이 드러나지 않았고 정책 실종에 따른 '네거티브' 선거전이 활개쳤다.
첫 시행된 직선제 선거 탓에 후보자들의 노련미가 떨어진데다 유권자들의 관심까지 멀어지면서 선거 막판까지 부동층이 절반을 넘어서 쉽게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판도로 진행됐다.
교육감 후보들은 "선거와 후보들에 대한 유권자들의 관심도가 낮아 선거 기간 동안 힘든 선거전을 치러야 했다"며 "정책 대결도 사라져 결국 자격 논쟁과 상대 후보 약점을 들추는 네거티브 선거전으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특히 대구 교육감 선거는 뚜렷한 현안이 없는 상태에서 9명의 후보가 난립, 유권자들이 후보 선택에 더욱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선거 초반 교육감 선거는 진보와 보수 단일화에 따른 보혁 갈등 구조로 전개됐고 막판에는 교사 및 교수 출신 간 교육감 자격 논쟁이 불붙기도 했다. 또 후보 간 고소'고발전이 벌어지기도 했고 정치 성향을 드러내서는 안 되는 교육감 선거에서도 친박이나 친이를 내세우는 후보까지 등장했다.
2명의 후보가 출마한 경북 교육감 선거는 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물론과 정책 대결 양상으로 진행됐지만 유권자들의 관심 끌기에는 역부족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교육감 선거의 최대 현안은 부동층의 향배였다. 선거 초반 후보 지지도를 묻는 각종 설문조사 결과 부동층이 무려 70%에 육박하는 사례도 있었으며 막판까지도 부동층이 40~50%를 오갔다.
이에 따라 선거운동에서 정책 검증이나 대결은 사라지고 후보마다 인지도 높이기에 주력하며 선두권 후보에 대한 노골적인 비난과 자격 논란 시비가 이어졌다. 교육감 후보로 '누가 적당한 인물인지' '어떤 정책이 맞는지'가 아니라 '○○○은 교사 경험이 없다' '○○○은 당선이 되더라도 사법처리를 받을 것'이라는 식의 네거티브 공방이 벌어진 것.
특히 대구 교육감 선거는 중반전 이후 우동기 후보가 여론 조사에서 1위로 부각하자 나머지 후보들이 연대해 영남대 총장 시절 판공비 유용 의혹이 있다며 사퇴를 요구하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특히 투표용지 기재 순에 따라 득표력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후보자들의 선거 초반전 관심사는 온통 '누가 첫번째로 등재되느냐'였고, 이는 '로또 선거'라는 지적을 받기에 이르렀다.
선거 막판까지 이어진 정책 대결 실종과 부동층 양산은 기존 정치권과의 줄대기 형태로까지 나타났다. 선거전에 큰 영향력을 나타내지는 못했지만 일부 후보들이 '친박'과 'MB'(이명박 대통령) 지지를 내세워 세몰이에 나서기도 했다.
한편 교육감 및 교육의원 선거 회의론도 부상했다. 평생을 강단에서 가르치던 '선생님'이 선거판에 나온 것이 한국식 교육 정서에 부합되지 않는데다 후보들도 상당한 선거비용과 정치성을 요구하는 직선제에 대해 반대 목소리를 냈다.
교육감 후보들은 "막상 선거를 치르고 보니 유권자 관심도 없고 정책 대결을 찾아볼 수도 없는 등 폐해가 너무 많다"며 "교육감이나 교육의원 선거 모두 보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창희'박상전기자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