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北 사이버 심리전에 난장판이 된 인터넷 공간

북한이 해킹을 통해 손에 넣은 우리 국민들의 개인 정보를 도용해 국내 인터넷 사이트에 '천안함 사건은 날조극'이라는 주장을 무차별적으로 퍼뜨리고 있다고 정보 당국이 밝혔다. 최근 국내 주요 웹사이트에 '역적패당이 조작한 북 어뢰 공격설의 진상을 논한다'는 글이 집중 게재돼 당국이 조사해 보니 주부'노인의 주민등록번호와 심지어 초등학생의 아이디까지 도용됐다고 한다. 마치 우리 국민들 상당수가 '천안함은 북한의 소행이 아니다'고 믿고 있는 것처럼 위장했다는 것이다.

북한이 과거 해킹 등을 통해 우리 국민들의 개인 신상 정보를 다량으로 빼내 갔다고 정보 당국은 밝히고 있다. 최근 5년간 무려 160여만 명의 개인 정보가 해킹됐다는 것이다. 이런 정보들이 천안함 이슈에 도용됐을 가능성은 충분해 보인다. 이에 현혹된 일부 네티즌들이 근거도 없는 괴담 수준의 글들을 인터넷을 통해 여기저기 퍼 나르면서 정부에 대한 불신이 증폭되고 사회가 혼란해지는 등 연쇄적인 부작용이 일어나는 것이다.

우리 사회 내부에서 정부의 천안함 조사 결과를 불신하며 '천안함 사건은 조작극'이라고 주장하는 사례가 부쩍 늘고 있는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어제 천안함 침몰 사건과 관련해 허위 사실을 인터넷에 유포한 혐의로 고교생과 20대 경비원이 경찰에 붙잡혔다. 어쩌면 이들의 행위도 이 같은 북한의 사이버 심리전에 휘말려 부화뇌동한 결과로 보인다.

지난해 북한의 디도스 공격에서 확인됐듯 우리의 사이버 공간은 북한의 공격에 고스란히 노출된 상황이다. 그런데도 이를 막기 위해 정부가 획기적인 대책을 세웠다는 소리는 듣지 못했다. 정부는 북한의 사이버 심리전의 실태를 면밀하게 파악해 인터넷 안보망의 취약점을 보완하고 대국민 홍보에도 힘을 써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