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제9기 온라인독자위원회] 후보 지지율 여론조사 신빙성 의문

매일신문 제9기 온라인 독자위원회가 6·2지방선거, 낙동강 살리기 사업, 노무현 전 대통령 1주기 등과 관련한 매일신문 보도에 대한 다양한 평가를 제시했다. 특히 선거보도와 관련,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기사가 있은 반면 비판을 받은 기사도 있었다. 지난달 16일부터 31일까지 온라인 독자위원회에 실린 독자위원들의 견해를 정리했다.

지방선거 보도에 대한 독자위원들의 관심이 단연 높았다. 김인현(변호사) 위원은 5월 24일자 1면 여론조사 결과 보도와 관련, 객관성과 공정성에 우려가 가는 기사라고 지적했다. 그는 대구 교육감 지지율 조사 결과와 관련한 이 기사의 경우, 부동층이 65%를 넘는 상황에서 14.7%의 지지율을 얻은 후보를 '지지율 1위'라는 큰 제목을 단 것은 적절치 않아 보인다고 꼬집었다. 상대적으로 50%가 넘는 지지율을 얻은 대구시장과 경북지사의 지지율을 더 작게 표기한 것과 비교해 보더라도 오해를 살 수 있다는 것.

또 지방선거 브리핑난에 보도하는 각 후보별 공약이나 활동 내용의 기사는 각 후보들이 제공하는 자료를 요약 보도한 것 같은 느낌을 준다고 지적했다. 자료를 제공하지 않은 후보들과의 형평성도 고려해야 할 것이고, 보도할 가치가 있는 기사인지 확인과 검증을 해달라고 덧붙였다.

지역 후보자들에 대한 자체 검증 결과 전과·체납 파렴치 후보가 수두룩하다는 24일자 4면 기사에 대해서는 돋보이는 보도로 칭찬했다. 다만 기왕 검증의 취지라면 후보자 실명을 언급하는 것이 후보자를 선택함에 있어 큰 도움이 됐을 것이라고 했다.

확인, 검증을 통한 선거보도를 해달라는 주문도 높았다. 김 위원은 25일자와 26일자 신문에서 후보자의 일방적 주장이나 후보자가 제공한 자료를 그대로 기사화한 것으로 보이는 보도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교육감 후보자들에 대한 각종 단체의 지지 선언을 보도한 26일자 3면 기사 경우, 과연 이들 인사들이 해당 단체의 대표성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거쳤는지 의문스러웠다고 했다. 가령 A후보 지지선언 단체의 명단에 '박사모'가 포함되어 있고, B후보의 지지선언에는 '박사모 회원 100여명'이 포함되어 있다는 기사를 유권자나 독자들은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분명치 않다고 했다.

권오섭(동우CM 소장) 위원은 26일자 '박근혜 눈도장 찍자…달성, 지방선거 순례지로'기사와 관련, 우리 정치 현실의 한 단면이라며 씁쓸해했다. 그는 후보들이 박 전 대표에게 눈도장을 찍기 위해 몰릴 게 아니라, 유권자의 손을 잡고 지지를 호소해야 하지 않느냐고 꼬집었다. 권 위원은 또 선거 유세용 확성기의 소음과 운동원을 태운 유세용 차량의 경우 관련 법규 위반의 소지가 많은 것으로 보이는 만큼 이에 대한 후속 취재를 당부했다.

고진영 위원은 31일자 '합법 발굴 뒤엔 불법 도굴의 그림자 뒤따라' 기사와 관련, 조국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문화재 환수에 대한 보도와 함께 이를 위해 힘쓰는 사람들에 대한 보도를 해 줄 것을 당부했다.

6일자부터 5회에 걸쳐 보도된 '낙동강 살리기 사업'관련 기획보도에 대한 의견도 제시됐다. 김인현 위원은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대한 찬·반 논쟁이 극렬한 가운데 대구·경북의 젖줄인 낙동강 살리기 사업을 다룬 것은 시의적절했지만, 기사 구성이나 내용면에서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6일자 '(1)잃어버린 모성을 찾아주자'에서 강의 모성 회복이란 큰 틀에서 낙동강을 바라보고 고민해야 한다는 점에서 공감을 가졌으나, 후속 보도에서 방향을 잃은 것 같다고 했다.

그는 7일자 '(2) 대구경북 파급효과는' 기사를 시작으로, 10일자 '(3)녹생성장의 중심으로', 11일자 '(4)포스트 낙동강 사업과 미래', 12일자 '(5·끝)낙동강 사업 Q&A' 기사 등에서 각 지방자치단체의 낙동강 인근 개발 사업을 나열하고, 정부 측의 찬성 논리를 대변하는 데 큰 비중을 뒀다고 꼬집었다. 특히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낙동강 살리기 사업은 찬반 논쟁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음에도 사업의 경제적 파급 효과 등 정부 측의 설명에 치중한 것 같은 인상을 주었다는 것이다. 당초의 기획의도에서 제시했던 '강의 모성 회복'과 거리가 멀 뿐 아니라,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고 있는 사업의 객관적 평가라는 당초의 기획의도에서도 벗어난 느낌이라고 지적했다.

최병고기자 cb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