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아파트 매매'전세가 격차 41개월 만에 최소

매매가 지속 하락 전세가 점점 올라…전국 54.8% 수준

부동산경기 침체에 따라 아파트 매매가격은 점점 내려가는 반면 전세가격은 계속 상승해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격차가 41개월 만에 최소 수준으로 좁혀졌다.

국민은행의 월별 전국 주택가격 동향 조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전국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과 비교한 전세가격의 비율은 54.8%로 나타났다. 이는 2006년 11월(55.5%) 이후 3년 5개월 만에 최고 기록이다.

이 비율은 전셋값을 매매값으로 나눈 뒤 100을 곱한 것으로, 예컨대 54.8%는 아파트 값이 1천만원일 때 전셋값은 548만원이며, 수치가 높아질수록 가격 차이가 줄어든다는 의미이다.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은 매년 12월을 기준으로 1998년에는 50.8%에 불과했다. 하지만 1999년 59.4%, 2000년 65.7%, 2001년 68.9%, 2002년 65.3% 등으로 치솟으면서 아파트 값 폭등의 원인이 됐다.

이어 매매가격 상승으로 그 비율이 2003년 60.5%, 2004년 57.2%, 2005년 57.1%, 2006년 54.7%, 2007년 54%, 2008년 52.4% 등으로 하향곡선을 그리다 2009년 1, 2월 각각 52.3%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그만큼 매매값과 전셋값의 격차가 벌어졌던 것.

하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아파트 값은 상승세가 꺾여 약보합 내지 내림세로 돌아선 반면 전세 수요는 늘어 지속적으로 강보합세를 보이면서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이 2009년 1, 2월 바닥을 찍은 뒤 2009년 3월(52.4%)부터 상승세를 탔다. 그 비율은 완만하게 높아지다 올 들어 1월 54.0%, 2월 54.3%, 3월 54.5%, 4월 54.8%로 올라서면서 2006년 말 수준을 회복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지난달 현재 41.5%로 2008년 2월(41.7%)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4월 현재 경기는 44.1%, 수도권은 43.2%로 작년 1월보다 3, 4%포인트 높아져 매매값과 전셋값의 차이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 부산, 인천, 광주, 대전, 울산 등 6개 광역시 평균은 지난달 63.8%, 도(道) 지역은 66.2%로 전국적으로 비슷한 상승 경향을 나타냈다.김교영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