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공의 기원은 소나 돼지의 오줌보에 바람을 넣거나, 새끼줄을 동그랗게 말거나, 동물가죽에 털을 집어넣은 것에서 찾아볼 수 있다. 잉글랜드 축구협회는 1872년 축구공을 가죽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규정을 제정했다. 국제축구연맹이 공인한 최초의 축구공은 1963년 아디다스가 만든 것으로 '산티아고'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월드컵 최초의 공인구는 1970년 멕시코대회에서 아디다스가 만든 '텔스타'. 당시 천연가죽으로 흰색 육각형과 검은색 오각형이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만든 것이었다. 1930년 우루과이 월드컵에서는 서로 자신들에게 익숙해진 공을 사용할 것을 고집하여 전·후반 각각 두 나라의 공으로 경기를 진행하기도 했다.
축구 선수들은 재질이 부드럽고 질기면서도 방수가 잘되는 축구공을 원한다. 또 컨트롤이 용이하며 킥을 할 때 속도가 빠르게 발휘되는 공을 좋아한다. 축구공은 크기와 무게, 압력 등의 규정에 따라 가죽재질과 외형에 초점이 맞춰져 개발됐다. 수중전에 대비해 방수처리가 된 인조가죽의 공이 개발됐고, 수축력과 반발력을 증가시킨 폴리우레탄 재질의 공도 개발됐다.
아디다스는 축구공의 개발을 주도했다.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에서 사용된 '탱고'는 탄력과 회전력이 뛰어나 골키퍼들을 괴롭혔으며 수중전에서도 탁월한 방수능력을 발휘했다. 1982년 스페인 월드컵에서는 '탱고 에스파냐', 1986년 멕시코 월드컵에서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 아스테카', 1994년 미국 월드컵에서는 '퀘스트라'와'클래식', '오빗' 등이 선을 보였다. 1998년 프랑스 월드컵에서는 '트리콜로',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는 '피버노바'가 등장했다. 피버노바는 흰색바탕에 바람개비 모양의 터빈엔진을 형상화시킨 4개의 황금색 삼각모양을 새겨 넣고 기포강화 플라스틱(Syntactic Foam)을 미세하고 극도로 압력이 높도록 소재를 개량해 반발력, 탄력, 회전력, 정확성 등을 월등하게 향상시켰다. 2006년 독일 월드컵에서는 12개의 오각형과 20개의 육각형으로 만들어지던 축구공이 6개의 사각형과 8개의 육각형으로 구성돼 보다 더 구형에 가깝도록 제작된 '팀가이스트'가 등장했다. 팀가이스트는 바느질로 가죽을 붙이던 기존의 제작 방식에서 탈피, 열접착 방식으로 제작됐다.
2010년 남아공 월드컵 공인구 '자블라니'는 11개의 컬러가 사용됐으며 남아공 공용어 중 하나인 줄루어로 '축하하다'는 뜻이다. 3차원 곡선 형태로 제작된 가죽조각 8개를 붙여 역대 공인구 가운데 가장 구형에 가깝다. 미세돌기가 표면에 자리해 골키퍼가 잡기 쉽도록 만들어졌고, 공을 드리블하는 선수들에게도 더욱 안정감을 준다. 변화무쌍한 움직임을 가짐으로써 강한 슈팅이 가능해 공격수에게 유리할 가능성이 높다. 축구공의 진화는 첨단과학이 스포츠를 더욱 화려하고 즐겁게 만들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김기진 계명대 체육학과 교수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