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新청사 공사 수주, 외지업체 잔치될라

4천억 규모…"지방경제 감안, 지역건설사 참여기회 높여야"

올해 말쯤 공사업체가 선정될 예정인 경상북도청 이전 신청사 공사 수주를 놓고 벌써 수도권 대형 건설사들이 각축전을 벌여 지역 건설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공사비가 4천억원이 넘는 경북도청 신청사 공사를 자칫 수도권 건설사가 수주할 경우 지역 건설업체에 돌아올 몫이 줄어들 수밖에 없어 지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침체한 지역 건설업 활성화는 물론이고 경북도청 신청사란 상징성을 고려해 지역 건설업체가 경북도청 신청사 공사에 대거 참여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10일 지역 건설업계에 따르면 신청사 수주를 위해 삼성과 LG, 두산, SK 등 수도권 대형 건설사들이 수주를 위해 물밑 작업을 벌이고 있다는 소문이 파다해 지역 건설업체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실제로 일부 대형 건설업체는 임원급 간부를 대구에 상주시키며 수주전을 지휘하고 있다는 소문까지 나돌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지역 건설업체들은 4천억원이 넘는 신청사 공사를 수도권 대형 건설업체가 수주할 경우 지역 건설업체들이 컨소시엄과 하도급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지역의 대형 건설사가 수주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특히 대구경북의 경우 이들과 경쟁할 수 있는 업체는 포항에 본사를 둔 도급 순위 6위인 포스코건설을 비롯한 대구의 화성산업 등이 수주전에 적극 나서 지역 건설사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한 중소건설업체 관계자는 "신청사를 서울 대형 건설업체에 뺏길 경우 지역 업체로 돌아올 몫이 별로 없다"면서 "지역 업체 보호를 위해서라도 우리 지역의 건설업체가 수주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북도도 이런 점을 감안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건설 측은 이 같은 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의 우려에 대해 "신청사 수주를 위해 나름대로 노력하고 있다"면서 "오는 9월 입찰공고가 발표되면 본격적으로 수주전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화성산업, 서한 등 지역 건설업체 관계자들도 "턴키 방식으로 발주한 4대강 사업도 지역 업체들은 컨소시엄 참여조차 여의치 않았다"며 "대구경북에서 발주한 공사는 지역업체들이 공사에 많이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건설협회 경북도회 관계자는 "대형 공사의 경우 턴키(설계·시공 일괄 입찰) 형태로 발주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되면 서울에 본사를 둔 일부 대형 건설사들이 수주를 독식하다시피 한다"며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사 발주 방식을 일반경쟁입찰 방식으로 바꿔 자금력과 시공실적이 떨어지는 지역업체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북도청 신청사는 공사비 4천55억원 규모로 오는 9월 입찰공고를 한 뒤 12월쯤 업체 선정을 마무리 짓고 내년 5월쯤 착공할 예정이며, 업체는 기술심의위원회에서 각 건설업체가 제출한 설계안과 금액 등을 종합해 선정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교영기자 kimky@msnet.co.kr

포항·이상원기자 seagull@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