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의 '반(反)농민적' 행태가 또다시 드러났다. 국내 농약 제조업체를 압박해 농약 판매상들이 농협보다 싼값으로 농약을 공급하지 못하도록 해왔다. 농민들에게 농약을 싼값에 공급해야 할 농협이 오히려 농민에게 손실을 강요한 것이다. 농민을 위해 존재해야 할 농협이 농민의 고혈을 빨고 있다고 해도 할 말이 없게 됐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농협중앙회는 2005년부터 2009년까지 매년 10여 개의 농약 제조업체들과 농약 구매 계약을 맺으면서 시중 농약 판매상이 농협과 계약한 가격보다 낮은 값으로 판매할 경우 그 차액을 제조업체들이 농협에 납부하고 경쟁사의 가격 인하로 쌓인 농협의 재고 물량을 반품할 수 있도록 했다. 농협중앙회가 이 같은 명목으로 7개 제조업체에서 걷은 돈은 12억 6천만 원에 달한다.
결과적으로 농협중앙회가 농민이 더 싼값에 농약을 구입할 수 있는 길을 차단한 것이다. 농약값이 떨어지는 것을 막고 농협중앙회가 회원 조합에 판매하는 가격이 더 싸게 보이기 위해서였다고 하니 누구를 위한 농협인지 참으로 개탄스럽다. 이 같은 가격 결정 제한 행위를 할 수 있었던 것은 농협이 국내 농약 유통 시장의 40~50%를 차지하는 최대 수요처이기 때문이다.
농협이 농민 이익은 안중에 없다는 비판은 오래전부터 있어왔다. 단적인 예로 농협중앙회 자산의 69%, 인력의 76%가 신용사업에 몰려 있다. '돈벌이'에만 몰두한 채 농민의 이익과 직결되는 농축산물의 생산'유통'판매 등 경제사업은 뒷전인 것이다. 농협의 총제적 체질 개선이 시급한 이유다. 그러나 농협 개혁은 지지부진하고 그러는 사이 농민만 골병이 드는 현실은 좀체 고쳐지지 않고 있다. 과감하고 신속한 개혁을 통해 농협 본연의 모습을 찾기를 기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