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월드컵 그리스전 때 보여준 대구 거리응원전은 엉망이었다. 무질서를 뛰어넘어 '통제 불능 지대'라는 표현이 딱 어울릴 정도였다. 대구백화점 본점 앞에서 한일극장까지 폭 12m, 길이 170m의 좁은 거리에 3만 명의 인파가 몰렸으니 콩나물 시루가 따로 없었다. 여유 있게 지구촌 축구 제전을 즐기는 것은 고사하고 발 디딜 틈이 없어 아우성이 터져나오고 통로도 제대로 확보되지 않아 꼼짝달싹할 수가 없는 지경이었다.
이런 상황은 두류공원 야외음악당도 마찬가지였다. 2002년과 2006년에 보여준 시민 질서 의식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불편은 둘째치고 절도와 성추행 사건까지 잇따랐다. 불과 몇 년 사이에 상황이 이렇게 바뀐 것은 시민 의식의 퇴보라고밖에 볼 수 없다.
무엇보다 대구시와 경찰이 인파를 예상하지 못하고 안전 대책을 소홀히 한 책임이 크다. 당초 5천여 명을 예상하고 안전 펜스를 설치하지 않은 것은 물론 현장에 나온 경찰력도 고작 100여 명에 불과했다. 서울 등 타 지역의 경우 인파에 대비해 통로 확보와 경찰력 배치에 힘쓴 것에 비하면 얼마나 허술하게 대비했는지 알 수 있다. 끔찍한 불상사가 나지 않은 게 천만다행이다.
안전사고는 방심하거나 미리 예상치 못해 대비를 소홀히 했을 때 발생한다. 대구시와 경찰은 그리스전 때 많은 인파를 예상하고 미리 안전 대책을 마련했어야 했다. 이렇게 안이하게 대처하니 '사고 도시'라는 불명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다. 시가 뒤늦게나마 동성로 거리응원전을 취소하고 17일부터는 대구스타디움, 두류공원 야외음악당, 시민운동장 주경기장, 동구 율하체육공원 등 4곳으로 장소를 확정한 것은 잘한 일이다. 동성로에 비해 외곽에 위치한 대구스타디움까지 오고 가기에 불편하겠지만 시민들도 안전을 위해 불편을 감수하는 성숙한 시민 의식을 발휘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