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말 노무현 정부 때 출범한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가 지난달 말 4년여의 활동을 마쳤다. 진실화해위는 그동안 1만 1천160건의 사건을 접수받아 9천987건을 처리했다. 그 중 7천770건에 대해서는 진실을 밝혔고, 사건 요건이 안 돼 각하한 건수는 1천549건이다. 진실 규명이 불가능한 것은 221건이었다.
이 활동으로 인해 1959년 간첩 혐의로 사형당한 조봉암 선생의 누명이 벗겨졌고, 1981년 전직 장관까지 포함된 학림(學林) 사건이 고문에 따른 조작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또 많은 간첩 사건도 군사독재 정권이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한 조작인 것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진실화해위의 활동은 그동안 우리가 하지 못한 과거사에 대한 청산, 정리 작업이었다. 대상이 일제강점기 때부터였으니 100년 동안의 근현대사에서 억울하게 고통을 당한 국민의 한을 정부가 인제야 돌아본 것이다. 하지만 세월이 너무나 많이 흘러 진실을 제대로 규명하지 못하거나 이론과 반론이 극명하게 부딪히는 경우도 많았다. 특히 전체 사건 중 73%인 8천160건이 한국전쟁 중 국군과 미군 등에 의한 민간인 희생에 관한 것이라는 점은 더 늦기 전에 아직도 밝혀내야 할 것이 많음을 보여준다.
우리 민족은 지난 100년 동안 식민지와 동족 상잔, 군사 독재라는 최악의 상황을 겪었다. 그러나 한 번도 제대로 된 반성과 청산을 하지 못했다. 일제 때 민족을 핍박한 인사들은 해방 뒤에도 권력을 좌지우지했고, 전쟁 때 희생된 무고한 생명의 유가족은 전쟁이 끝난 뒤에도 숨어 살았다. 과거사를 무엇 때문에 끄집어내느냐는 비판도 있었지만 진실화해위의 활동은 역사와 민족에 죄를 짓고는 살아갈 땅이 없다는 것을 보여준 데 큰 의미가 있다. 또 한 번도 과거를 제대로 청산하지 못한 데에 대한 부끄러움도 어느 정도 씻을 수 있게 됐다.
진실화해위의 공식적인 활동은 끝났지만 정부는 과거의 잘못한 역사에 대한 반성 작업을 멈춰서는 안 된다. 억울한 죽음이나 인권이 박탈당하는 사례는 지금도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과거의 역사를 분명하게 밝히는 것은 혼란이나 분열을 부추기는 것이 아니다. 잘못을 반복하지 않고, 보다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한 우리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우리는 자라는 후손들을 위해 더 이상 진실화해위와 같은 기구가 필요하지 않은 자랑스러운 역사를 만들어 가야 할 의무가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