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방학이 되면 300원 하던 동서추리문고에 빠져 무더위를 잊었던 학창 시절이 기억난다. 크로프츠의 '통'을 비롯해 애거사 크리스티의 '그리고 아무도 남지 않았다' 등 걸작들은 이때 대부분 읽었다.
특히 좋아한 작가가 프리데릭 포사이스였다. 그는 '오데사 파일', '전쟁의 개들', '재칼의 날' 등 뛰어난 스릴러 작품으로 사랑을 받은 작가다. 그는 비범한 플롯 구성으로 독자로 하여금 손에 땀을 쥐게 하는 긴장감을 느끼게 해주었다.
로이터통신 기자 출신으로 일반인이 접하기 어려운 스파이들의 은밀한 활동이나 국제 정세, 무기에 대한 해박한 지식 등을 눈에 보일 듯한 묘사로 그려내 마치 얼음을 깨 넣은 수박 화채를 먹을 때처럼 청량감을 주었다. '제4의 정서'에서는 북한 출신 스파이의 가공할 위력을 잘 그려내 주었으며 '오데사 파일'은 2차대전의 비극미를, '전쟁의 개들'에서는 용병과 식민의 비애를 박진감 넘치게 그려냈다.
켄 폴리트의 작품도 좋아했다. 특히 '바늘구멍'은 땀 구멍이 모두 막히는 듯한 느낌을 받을 정도로 흥미로웠다. 1981년 도널드 서덜랜드 주연의 영화로 나와 인기를 끌기도 했다. 켄 폴리트는 29세의 젊은 나이에 '바늘 구멍'을 출간해 미국 추리작가협회에서 수여하는 '에드가 알랜 포우상'을 수상했다.
'바늘 구멍'은 고전적이며 전통적인 첩보물이다. 현대 추리물에 나오는 논리의 비약이나 개연성 부족 등을 용납하지 않는, 바늘 끝 같은 긴장감을 준다. 등장인물도 많지 않고 더구나 잔인하고 냉정하기 이를 데 없는 독일 스파이에 대항하는 것이 외딴 섬에 살고 있는 힘없는 주부라는 설정이 흥미롭다. 이후 중동전을 배경으로 한 '트리플'을 비롯해 '사나운 새벽' 등도 재미있게 읽은 작품이다.
이외 스릴러의 대가들이 많다. '런 어웨이'의 작가 존 그리샴을 비롯해 톰 크랜시, 로빈 쿡, 마이클 클라이튼, 스티븐 킹…. 저마다 자기 색깔을 가진 전문 분야의 스릴러들을 내놓고 있다. 존 그리샴은 법정 스릴러가 전문이다. '펠리컨 브리프'나 '야망의 함정', '의뢰인' 등은 법정을 둘러싼 문제들을 치밀하게 묘사하고 있다. 한때 변호사로 활동한 그의 이력이 탁월한 필치에 의해 묻어난다. '쥬라기 공원'으로 최고 작가로 떠오른 마이클 클라이튼은 의사 출신이다. 그의 작품은 가장 영화적인 소설로 평가받고 있다. '쥬라기 공원' '잃어버린 세계' '트위스터' 등 주로 SF 대작 영화로 많이 만들어졌다. 톰 크랜시는 스파이물의 대가다. '패트리어트 게임' '긴급 명령' '붉은 10월' 등이 그의 작품. 철저하게 사실과 전문지식에 기초하고 있어 생생한 현실감과 극적 긴장감으로 독자를 끌어들인다.
로빈 쿡은 콜럼비아 의대를 졸업하고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대학원 과정을 마친 의사이다. '돌연변이' '열' '바이탈 사인' '코마' 등 베스트셀러를 내놓았다. 장기 이식이나 뇌사, 바이러스 등 의학 관련 주제를 통해 환상적인 메디컬 스릴러를 선사하고 있다.
그래도 가장 대중적인 작가는 스티븐 킹이 아닐까. 그는 직접 영화에도 출연하고 영화까지 감독할 정도. 이제까지 그의 원작이 영화로 된 것은 50여 편에 이른다. 워낙 양이 많아 졸작도 있지만, 영화사에 길이 남을 명작도 많다.
'샤이닝' '미저리' '캐리' '쇼생크 탈출' 등은 특히 뛰어난 작품이다. 그의 작품은 대부분 중산층의 공포를 다룬 심리 스릴러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스탠 마이 미' '내 영혼의 아틀란티스'등 성장의 두려움을 스릴러적으로 그린 서정적인 작품도 많다. 스티븐 킹이란 이름의 작품의 총 발행 부수가 성경의 발행 부수를 능가한다는 얘기가 있을 정도이다.
장마까지 겹쳐 불쾌지수 높은 후텁지근한 날씨가 계속되고 있다. 경제도 어렵고 살기도 빠듯한 것이 날씨처럼 꽉 틀어 막힌 것 같다. 스릴러 소설을 읽으면 좀 잊을 수 있을까.
김중기 객원기자 filmton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