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기업 R&D성적 왜 저조한가 했더니…

미래전략아카데미 운영위서 연구보고서 발표

올해 지역 경제계의 화두는 현실과 겉돌고 효율성이 떨어지는 R&D(연구개발)의 대수술이다. 이미 대구경북연구원과 대구상공회의소가 메스를 들고 '반 NGO' 역할을 부여한 미래전략아카데미를 통해 수술 중이다.

이들 기관들은 12일 오전 대구그랜드호텔에서 미래전략아카데미 운영위원회 확대회의를 열었다. '지역기업 발전을 위한 R&D 방향과 발전전략'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회의에서는 지역 R&D 수준이 왜 형편없는지, 이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 등의 내용이 담긴 연구보고서가 발표돼 눈길을 끌었다.

신진교 대구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장이 이날 발제한 '지역 R&D 성과 제고를 위한 정책적 제언'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지역 R&D의 낮은 성적표는 ▷국가적 R&D 지원 소외 ▷지역 R&D 역량 저조 ▷지역기업 R&D 역량 한계 등이 주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대구에 쏟아진 총연구개발비는 5천80억원. 이는 지난 3년간 35.3% 증가한 금액이지만 전국 대비 1.5%에 불과한 16개 광역시 중 11위 수준이었다. 기술강국 도약을 위해 정부가 연구개발비를 늘리면서 대구도 수혜를 입은 것처럼 보이지만 다른 지역이 더 많은 혜택을 받은 셈이다. 특히 지역 연구원(7천442명, 전국대비 2.5%) 1인당 연구개발비는 6천826만원에 그쳐, 강원도와 함께 전국 최하위(15위)로 나타났다. 대전의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1억7천586만원으로 대구와 무려 3배 정도 차이가 났다.

지역 연구개발조직은 총 556개로 공공연구기관 10개(전국의 3.1%), 대학 16개(4.3%), 기업체 530개(4.0%)로 구성돼 있다. 이처럼 정부 출연연구기관 등 공공연구기관의 비중이 낮은 것이 문제로 지적됐다. 신 단장은 "대부분의 지역 기업지원기관들은 인건비와 운영비 등을 위한 안정적인 자금줄이 공공연구기관보다 상대적으로 열악하기 때문에 국책사업 등을 따낸 뒤 받는 R&D 자금에서 기관의 살림을 살고 있다"며 "결국 자신들을 위한, 기관이 생존할 수 있는 연구과제에만 매달리다 보니 연구개발 성과가 낮아질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역기업들의 R&D 능력과 의지에도 문제가 많은 것으로 지적됐다. 대구TP 정책기획단이 최근 지역전략산업인 메카트로닉스(238개)·IT(95개)·섬유(170개)·생물 분야(42개) 등 600여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56.5%의 기업만이 R&D투자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IT업종 기업의 84.4%가 R&D에 투자한 반면 섬유는 59.8%로 가장 낮았다. 또 정책기획단이 조사한 '2009 지역기업 연구개발인력 운영 현황'에 따르면 연구원 10인 이하 누적 업체수 비중이 90%를 넘었다. 평균 연구개발인력 5.04명 중 학사출신이 4.13명으로 박사(0.14명)나 석사(0.77명)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고급 연구개발인력의 부재가 심각했다.

신 단장은 "지역의 R&D 성과를 높이려면 기업지원기관의 ▷R&D 조사·분석 및 기획력 강화 ▷R&D 자금 확보 노력 및 기업 인식 제고 ▷지역 R&D 사업 컨트롤 타워 강화 등에 대한 노력이 반드시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