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지역 경제계의 화두는 현실과 겉돌고 효율성이 떨어지는 R&D(연구개발)의 대수술이다. 이미 대구경북연구원과 대구상공회의소가 메스를 들고 '반 NGO' 역할을 부여한 미래전략아카데미를 통해 수술 중이다.
이들 기관들은 12일 오전 대구그랜드호텔에서 미래전략아카데미 운영위원회 확대회의를 열었다. '지역기업 발전을 위한 R&D 방향과 발전전략'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회의에서는 지역 R&D 수준이 왜 형편없는지, 이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 등의 내용이 담긴 연구보고서가 발표돼 눈길을 끌었다.
신진교 대구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장이 이날 발제한 '지역 R&D 성과 제고를 위한 정책적 제언'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지역 R&D의 낮은 성적표는 ▷국가적 R&D 지원 소외 ▷지역 R&D 역량 저조 ▷지역기업 R&D 역량 한계 등이 주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대구에 쏟아진 총연구개발비는 5천80억원. 이는 지난 3년간 35.3% 증가한 금액이지만 전국 대비 1.5%에 불과한 16개 광역시 중 11위 수준이었다. 기술강국 도약을 위해 정부가 연구개발비를 늘리면서 대구도 수혜를 입은 것처럼 보이지만 다른 지역이 더 많은 혜택을 받은 셈이다. 특히 지역 연구원(7천442명, 전국대비 2.5%) 1인당 연구개발비는 6천826만원에 그쳐, 강원도와 함께 전국 최하위(15위)로 나타났다. 대전의 연구원 1인당 연구개발비 1억7천586만원으로 대구와 무려 3배 정도 차이가 났다.
지역 연구개발조직은 총 556개로 공공연구기관 10개(전국의 3.1%), 대학 16개(4.3%), 기업체 530개(4.0%)로 구성돼 있다. 이처럼 정부 출연연구기관 등 공공연구기관의 비중이 낮은 것이 문제로 지적됐다. 신 단장은 "대부분의 지역 기업지원기관들은 인건비와 운영비 등을 위한 안정적인 자금줄이 공공연구기관보다 상대적으로 열악하기 때문에 국책사업 등을 따낸 뒤 받는 R&D 자금에서 기관의 살림을 살고 있다"며 "결국 자신들을 위한, 기관이 생존할 수 있는 연구과제에만 매달리다 보니 연구개발 성과가 낮아질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역기업들의 R&D 능력과 의지에도 문제가 많은 것으로 지적됐다. 대구TP 정책기획단이 최근 지역전략산업인 메카트로닉스(238개)·IT(95개)·섬유(170개)·생물 분야(42개) 등 600여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56.5%의 기업만이 R&D투자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IT업종 기업의 84.4%가 R&D에 투자한 반면 섬유는 59.8%로 가장 낮았다. 또 정책기획단이 조사한 '2009 지역기업 연구개발인력 운영 현황'에 따르면 연구원 10인 이하 누적 업체수 비중이 90%를 넘었다. 평균 연구개발인력 5.04명 중 학사출신이 4.13명으로 박사(0.14명)나 석사(0.77명)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고급 연구개발인력의 부재가 심각했다.
신 단장은 "지역의 R&D 성과를 높이려면 기업지원기관의 ▷R&D 조사·분석 및 기획력 강화 ▷R&D 자금 확보 노력 및 기업 인식 제고 ▷지역 R&D 사업 컨트롤 타워 강화 등에 대한 노력이 반드시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