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달성1차산업단지 내 신동화학(대표 민복기)은 지방업체로는 드물게 과자와 빵, 두부 등 식품, 농산물 포장재와 기저귀나 생리대의 고정용 밴드인 루프인쇄 등 포장재의 모든 것을 생산할 수 있는 강소기업이다.
이 회사는 과감한 시설투자로 포장재의 모든 것을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 지역 물량이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대한 막고 있을 뿐 아니라 화장품 마스크 팩 일본 수출도 앞두고 있다.
◆포장재 하나에도 혼이 들어가야 한다.
포장재는 제품이 소비자들에게 전달될 때까지 변질이 없도록 해야 하는 것이 기본. 지금은 여기에다 하나의 상품을 포장해서 상점에 진열해 구매자의 시선을 끌고 구매의욕을 자극하는 세련된 디자인과 기능성을 갖춰야 한다.
특히 생활의 다양화, 식생활의 향상, 가공식품의 증대는 포장재 시장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용도에 맞는 소포장이 늘어나고 형태도 다양해지고 멸균 등 기능성 포장재 수요도 날로 급증하고 있다.
신동화학은 2002년 창업을 해 기본적인 포장재 인쇄를 시작했다. 고춧가루 잡곡 단무지 등의 농산물과 두부 김치 과자 등 식품 포장에 필요한 포장재를 생산했다. 이어 삼면씰링기계와 포장재를 여러 겹으로 만들 수 있는 라미네이팅기계, 형상대로 포장재를 생산할 수 있는 톰슨기계, 코팅기 등 과감한 시설투자를 했다.
이를 통해 이제는 식품과 농산물 포장재뿐만 아니라 진공·멸균 포장재, 세울 수 있는 스탠드 파우치, 지퍼 포장재, 모양 따라 만들어지는 톰슨 포장재를 생산한다. 또 4년 전부터는 기저귀와 생리대 허리밴드 고정용 루프 인쇄를 해 협력업체에 납품을 하고 있다.
매출 비중은 식품과 농산물 포장재가 매출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나머지 30% 정도가 위생자재다.
◆사람과 설비에 대한 재투자와 신뢰가 회사 경쟁력
대구 경북에는 농산물과 식품회사에 필요한 포장재를 생산하는 업체가 40여 개 정도 된다. 이들 포장재 생산 회사들은 대기업으로부터 필름을 구입해와 이를 2차 가공을 거쳐 포장재로 생산한다. 대부분 주문자의 의뢰에 따라 포장재를 맞춤 생산한다. 많은 업체들이 포장재 인쇄나 단품 위주의 생산을 하지만 신동화학은 250여개 업체, 4천여 품목의 다양한 포장재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민복기 대표는 "이처럼 다양한 포장재를 생산할 수 있는 회사는 대구경북에서는 아마 우리 회사가 유일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장재 하나를 만들더라도 사람들의 혼이 담겨야 합니다. 또한 정직한 제품을 만들어 소비자들로부터 신뢰를 쌓아야 합니다."
그는 "포장재 생산회사는 생산 자동화를 통한 원가절감으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을 해야 하고, 납기를 제대로 맞추며, 제품의 질이 좋아야 하는데 우리 회사는 이 같은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자랑했다.
그는 또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미래를 내다보며 사람과 설비에 대한 꾸준한 재투자와 재질을 속이지 않는 등 신뢰를 쌓은 것이 회사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원동력이라고 했다. 음식물을 포장하는 포장재를 만들 때는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품 알루미늄 재료를 쓴다고 했다.
이 회사는 특히 철저한 품질관리를 한다. 식품과 농산물이 포장재와 직접 맞닿기에 위생적인 제품 생산을 위해 철저한 검수와 공인기관의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는다.
또한 원가절감으로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설 장비에 대한 재투자도 꾸준히 하고 있다. 합지를 할 수 있는 라미네이팅 기계와 톰슨 기계, 내용물이 일부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구멍을 뚫는 기계 등 12개의 장비를 갖춰 특수한 포장용지도 제작이 가능하다.
◆일본으로 수출할 예정
민 대표는 최근에 1억7천여만원을 투자, 근무환경 개선과 사원 복지 향상을 위해 공장 바닥과 조명을 새롭게 바꾸고, 구내식당을 자체 운영 중이다. 직원들의 출퇴근을 위해 차량 7대를 구입해 제공하고 있다. 직원 자녀들의 대학까지 학자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민 대표는 "앞으로도 사람과 설비에 대한 재투자를 확대해 기존 생산 제품의 품질 향상과 새롭게 쌀과 시멘트 등 20㎏용 종이 포장재와 과수용 반짝이 필름을 생산할 예정이다. 또 일본 화장품 업체로부터 마스크 팩을 생산해 달라는 제의를 받아 앞으로 수출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진만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