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입시학원이 내년도 4년제 143개 대학 입학 수시 전형을 분석한 결과 유형이 1천873개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대학당 평균 13개꼴이다. 4년제 대학이 200개에 이르는 것을 감안하면 약 2천500개의 유형이 있는 셈이다. 이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와 비슷한 전형은 47%에 지나지 않았다. 반 이상이 내년도 입시에서 처음 생긴 것이다.
내년도 입시는 대학마다 수시 전형을 늘려 처음으로 전체 정원의 60%를 넘었다. 상위권 대학일수록 비율이 높아 연세대는 79.8%, 고려대는 68.5%, 서강대는 65.3%에 이른다. 이러한 추세의 이유는 명확하다. 대학이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인재를 뽑겠다는 것이다. 그 안에는 특목고 등을 우대하겠다는 속내도 숨어 있다. 여러 대학이 내부적으로 고교 등급제를 적용했다는 의혹이 그 사례다.
수시 전형은 단 한 차례의 수능 성적만으로 대학 입학을 결정하는 입시에서 발전한 것만은 분명하다. 정부는 수시 전형 비율을 높이면 학교 생활만 충실해도 대학에 갈 수 있어 사교육이 줄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전형 내용이 복잡해지면서 새로운 사교육이 나타나는 등 부작용이 심각하다. 수시 전형 비중이 커지고 내용이 복잡할수록 그 피해는 고스란히 수험생에게 돌아간다. 정시 경쟁률이 높아져 공부를 열심히 해도 불안할 수밖에 없다. 특히 정보가 부족한 지방 학생이나 비특목고 학생은 더욱 그렇다.
수시 전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빨리 보완해야 더 이상의 혼란을 막을 수 있다. 비율을 제한하고, 그 전형도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 또 전형 결과에 대해 철저하게 관리, 감독할 제도적 장치도 있어야 한다. 대학가에 널리 퍼진 암묵적인 고교 등급제는 최소한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자율권 보장이 대학의 횡포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