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농공단지가 살면 지역균형발전은 절로 되죠" 송재열

전국농공단지연합회 회장

농림수산식품부와 지역발전위원회가 29일부터 4일간 서울 엑스코서 개최하는 제2회 농어촌산업박람회에 농공단지 조성 30년 만에 처음으로 경북 1곳을 비롯한 농공단지 입주업체 4곳이 생산품을 전시한다.

이 같은 성과가 있기까지는 송재열(59) 한국농공단지연합회 회장의 역할이 컸다. 2년째 회장을 맡고 있는 송 회장이 농공단지를 살리기 위해 정부기관을 백방으로 뛰어다닌 결과였다.

"1980년 반농·반공 형태로 농촌소득을 높인다는 목적으로 농공단지가 처음 조성됐지만 그 후 정부는 거의 방치 수준이었어요. 정부기관을 방문해 농공단지에 대한 발전대책을 요청하면 농공단지 자체를 모르는 고위 공무원들이 수두룩해 답답하기만 했어요."

송 회장은 올 초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를 방문해 농어촌산업박람회 때 농공단지 부스 설치를 요청해 성사시켰다.

하지만 송 회장의 마음은 아직 편치 않다. 농공단지 조성 30년이 지났지만 모든 산업정책이 일반산업단지에 집중되면서 농공단지는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하나 둘이 아니기 때문이다.

"현재 전국에 400여 개 단지 6천여 기업이 입주해 있지만 상당수 단지가 주차장이 비좁고 소방도로도 없어요. 대형화물차 진출입도 어려워요. 농공단지의 전반적인 리모델링이 절실해요."

매년 농식품부서 농공단지 조성비로 600억원의 예산이 책정되고 있지만 리모델링 예산은 한 푼도 없다. 그래서 송 회장은 이 예산 중 절반이라도 농공단지 구조 고도화 비용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90년대는 농공단지 입주업체들의 운영자금을 정부예산으로 지원하기 위해 기금도 1천억원이나 조성돼 자금이 부족한 기업들이 그나마 숨통이 틔었다고 한다. 그런데 정책이 바뀌면서 작년에 200억원으로 대폭 줄었고 올해는 아예 기금조차도 없애버렸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정부가 농공단지를 방치하고 있다는 방증입니다. 농공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예전처럼 기금을 마련해 입주기업들을 도와야 합니다."

민선 이후 기초단체장들이 자신의 치적을 올리기 위해 무턱대고 농공단지를 조성한 것도 문제를 키웠다.

입지조건과 인프라 등을 제대로 따지지 않아 경북북부 등 일부 농공단지들은 분양이 안 돼 텅 빈 곳이 많고 심지어 입주가 불가능한 레미콘업체까지 들어섰다고 했다.

"상당수 업체가 영세하지만 자생력을 키워 중견기업으로 성장한 기업도 많아요. 연간 매출 500억원 이상 올리는 기업이 30곳, 무려 1천억원 이상 매출 기업도 15곳이나 되거든요."

그러나 입주기업의 많은 CEO들은 아직도 경영마인드가 약하다. 송 회장은 경영혁신 마인드를 높여보자는 취지로 지난 7월 초 전남 여수에서 처음으로 전국농공단지 입주기업 경영자를 대상으로 워크숍을 개최하기도 했다. 또 올 11월에는 '농공단지 재창조의 날'을 선포해 경영혁신대회를 계획하고 있다.

송 회장은 이전에는 연합회 사업비가 한 푼도 없어 운영이 힘들었지만 올해 정부예산 5억원을 따오는 성과를 거둬 워크숍 같은 행사 개최도 가능했다고 귀띔했다.

영천에서 자동차 부품공장을 15년째 운영하고 있는 송 회장은 올해 연간 매출 70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송 회장은 소나무 감상이 취미이다. 틈만 나면 전국을 여행하면서 소나무의 기상을 느껴보고 자신의 마음을 추스른다고 했다.

"전국 구석구석에 있는 400여 개 농공단지가 활성화되면 지방 균형발전은 저절로 된다"는 게 송 회장의 강한 신념이다.

김동석기자 dotory125@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