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전국에서 추진 중인 120여 개 신규사업을 전면 재검토할 방침이어서 대구경북에도 일부 사업의 취소나 연기 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LH는 이달 말까지 신규 사업 중 철회하거나 취소할 사업을 이르면 이달 말까지 확정하고 다음 달 중 사업조정 내용을 발표할 예정이다.
LH 대구경북본부에 따르면 지역에서는 대구 신서·경북 김천 혁신도시, 대구국가산업단지, 대구테크노폴리스 등 토지사업 14개 지구(3천790만㎡), 대구 율하2, 대구 칠성 등 주택건설 14개 지구(1만2천 가구)의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들 사업은 보상작업이 이뤄지고 있거나 착공됐기 때문에 계획대로 추진될 것이라고 LH 대경본부는 설명했다.
하지만 '부채 늪'(총부채 118조원)에 빠진 LH의 재무구조로 봐선, 보상비 재원 부족 등의 이유로 국가산업단지 등 대형 국책사업에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없지않다.
올해 착수한 대구국가산업단지의 경우 이번 사업조정 방침이 발표되기 훨씬 전인 지난 5월 자금부족과 용지 분양 저조 등을 이유로 2단계로 나눠 보상을 추진키로 결정했다. 2차 보상 부지로 분류된 지역 주민들은 일괄 보상을 요구하며, LH 본사까지 찾아가 항의 방문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대구국가산단은 현재 1단계 사업 부지의 감정평가가 진행 중이며 실제 보상은 다음 달 중순 이후 이뤄질 예정이며, 2단계 보상은 일정조차 확정되지 않아 완공 시점이 당초 계획(2014년 12월)보다 늦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국가산단과 같은 시기에 지정된 포항국가산단의 경우 아직 보상 작업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또 지구지정은 됐지만 개발계획 수립 단계인 1, 2개 신규 택지조성 사업이 연기 또는 취소될 가능성도 있다.
LH 대경본부 김태겸 보상사업단장은 "그나마 새로 지정된 전국의 대구, 포항, 서천, 광주 4개 국가산단 가운데 대구산단의 사업 진척이 가장 빠른 편"이라며 "국가산단은 대통령 공약사업이지만, 부지 매입에 필요한 보상 자금이 없어 사업 진행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대구는 다른 지역보다 형편이 나은 편"이라고 말했다.
LH 대경본부가 진행 중인 대구·경북 혁신도시, 대구·포항 국가산단, 대구테크노폴리스 등 지역 5개 대형프로젝트의 사업비만 5조6천억원이다. 하지만 LH는 하루 대출금 이자만 100억원을 갚아야 하는데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토지 판매 수입마저 당초 목표액보다 크게 떨어져(올해 30조원 목표 중 상반기 판매액 25% 수준) 진행 중인 일부 사업의 향후 일정이 불투명한 상태다.
박 본부장은 "사업 시행에 필요한 자금은 채권발행과 토지나 주택 판매 등으로 마련하는데, 채권발행이 여의치 않은데다 땅과 아파트가 팔리지 않아 자금 조달에 비상이 걸렸다"며 "본사 차원에서 대대적인 사업조정을 하고 있지만 혁신도시나 국가산업단지, 보금자리주택사업 등과 이미 진행 중인 사업은 조정 대상에서 제외될 것으로 보여, 대구경북에는 대형프로젝트가 중단되는 일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교영기자 kimk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