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듀서 역할 절대적
한 편의 완성된 뮤지컬이 무대에서 공연되기까지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게 된다. 극단 중심, 연출가 중심으로 제작되는 연극과 달리 많은 자본과 시간, 그리고 인력이 소요되는 뮤지컬의 경우에는 프로듀서(제작자) 중심으로 제작과정이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뮤지컬 제작에 있어 프로듀서의 역할과 영향력은 절대적이다. 프로듀서는 작품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마케팅, 결산까지 뮤지컬 제작의 전 과정을 총괄하게 되는데 작가, 작곡가 등 1차 창작집단과 연출가, 스태프 등 2차 창작집단을 섭외하고 배우 캐스팅 과정에도 참여한다.
창작 뮤지컬의 제작은 일반적으로 프로듀서가 작품을 기획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순수 창작뿐 아니라 소설이나 드라마, 영화 시나리오 등을 바탕으로 뮤지컬이 만들어지기도 하는데 작품의 방향과 제작규모 등 기본계획이 수립되면 작품을 이끌어갈 핵심인물들인 작가와 작곡가, 작사가, 연출가를 섭외한다. 작가에 의해 대본이 만들어지면 작사와 작곡 작업에 들어가게 되고, 대본과 음악이 어느 정도 완성되면 안무가, 음악감독 등 주요 스태프들을 선정하고 오디션을 통해 배우를 캐스팅한다. 배우 캐스팅이 마무리될 때쯤 '제작발표회'를 열어 작품과 공연일정 등을 언론이나 일반에게 공개하고 본격적인 연습에 들어간다.
◆실제 제작과정 연출가의 역할 확대
공연 제작의 전 과정은 제작자가 총괄하지만 실제 연습과정에는 연출가의 역할이 확대된다. 뮤지컬 작품의 설계를 담당하는 연출가는 작품 분석을 통해 무엇을 보여주고, 어떤 메시지와 감동을 전달할 것인가 등을 결정하고 노래, 연기, 춤 등 뮤지컬의 전반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배우들의 움직임과 무대 위에서의 배치 등을 구상한다.
안무가는 작품 성격과 음악에 맞게 춤을 구성하고 음악감독과 함께 배우들의 춤과 노래, 연기를 지도한다. 연출가와 작곡가, 안무가 등이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각 장면의 이미지와 등장인물 상호간의 관계를 구성해 가면서 전체적인 작품을 형상화해가는 과정에 무대, 조명, 음향, 의상 등 각 파트별 디자이너가 참여하면서 시각적인 부분을 좀 더 구체화하게 된다.
이렇게 작품의 연출적인 부분을 담당하는 모든 이들을 크리에이티브(Creat ive) 팀이라고 하는데 수 차례의 프로덕션 회의를 통해 입체적인 작품을 완성해나가게 된다. 크리에이티브 팀과 배우들이 흘린 땀이 결실을 맺는 곳은 무대 위다. 대개 본 공연에 앞서 수 차례의 리허설과 프리뷰(Pre-view) 과정을 거쳐 개막 공연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공연에 돌입하게 된다. 작품의 성과에 따라 수정, 보완 과정을 거쳐 차기 공연 일정을 잡게 된다. 대본과 음악이 나와 있는 라이선스 공연의 경우에는 1차 창작집단과의 과정이 생략되고 프로듀서의 주도 하에 연출가, 배우, 스태프 중심으로 연습을 거쳐 공연을 올리게 된다.
◆제작과정은 '한 그루의 나무'같아
이러한 뮤지컬 제작과정은 한 그루의 나무에 비유되곤 한다. 나무의 몸통이 대본과 음악이라면 음악, 안무, 조명, 배우 등은 각각의 영역을 인정받으며 가지를 뻗어나가게 되는데, 정원사 역할을 하는 연출가에 의해 불필요한 부분은 가지치기를 통해 정리하면서 전체적인 모양새를 완성하게 된다.
무엇보다 나무가 잘 자라기 위해서는 그 뿌리격인 제작진의 긍정적인 마인드, 탄탄한 자본력과 기획력, 마케팅 능력 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여기에 크리에이티브 팀과 배우들의 열정, 그리고 밑거름이 되는 관객의 호응이 더해졌을 때 그 나무는 생명력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뿌리가 튼튼하고 자생력을 갖춘 창작뮤지컬의 나무들이 한 그루, 두 그루 모여 건강한 숲을 형성할 때 한국 뮤지컬은 미래를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최원준(㈜파워포엠 대표이사)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