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세균 사퇴, 지도체제 당내갈등 불붙여

비주류측 비대위 구성 요구 당권경쟁 충돌

정세균 민주당 대표가 2일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7·28 재보선 참패의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지도부 총사퇴 대신 정 대표만 물러나는 것으로 재보선 참패에 대한 지도부 책임론에서 벗어나겠다는 뜻이다.

그러나 정 대표 퇴진 이후 9월 전당대회 때까지 임시지도체제 개편과 전당대회 준비를 둘러싸고 주류-비주류 간 갈등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어 정 대표 사퇴가 당내 갈등으로 확산될 것이란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전대 전까지 당을 이끌 임시지도부 구성에 대해 주류 측은 임시지도부 구성을, 비주류 측은 비상대책위 구성을 각각 요구하며 맞서 있는 상태. 양측이 임시지도부-비대위 구성을 둘러싸고 충돌하고 있는 것은 당권 경쟁의 '룰'이 여기서 마련되기 때문이다. 임시지도부가 구성될 경우 현 지도부 위주로 짜일 가능성이 커 새 지도부 선출 방식의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비주류 측은 참신한 인물을 중심으로 비대위를 구성, 새 판에서 신임 지도부를 선출할 것을 원하고 있다.

임시지도부 구성 문제가 일단락되더라도 집단지도체제 도입, 지도부 임기 등의 문제가 남아 있다.

그동안 당권에서 소외된 비주류 측은 집단지도체제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전당대회에서 1등을 차지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다고 보고 당권에 개입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집단지도체제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주류 측은 권한이 1인에게 집중되는 현재의 단일성 지도체제를 고수하고 있다. 야당은 신속한 의사결정이 필요하고 당내 갈등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점을 주류 측은 강조하고 있다.

지도부 임기 문제는 2012년 총선 공천권과 맞물려 있다. 비주류 측은 새 지도부 임기를 2011년 말로 완료해야 한다는 주장이지만 주류 측은 차기 지도부의 공천권 행사는 당연한 것이라며 반대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도부 임기 문제는 당권-대권 분리 문제와도 연결돼 있는 데 주류 측은 대선 때가 되면 자연스럽게 당·대권이 분리되기 때문에 차기 지도부 임기를 앞당길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