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지난해 전국 호환이 가능한 신교통카드 사업에 착수했지만 무계획적으로 진행해 신교통카드 사업이 7개월째 표류하고 있다.
특히 신교통카드 사업자가 복수사업자 체제로 굳어지면서 양측의 업권 다툼과 갈등 해소가 숙제로 떠올라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볼모로 잡혀 불편을 겪게 됐다. 관계기사 3면
시에 따르면 기존 교통카드 사업자인 카드넷이 대구은행과 180억원 안팎에 매도 계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져 교통카드는 대구은행과 신교통카드 사업자인 BC카드 두 사업자 체제로 운영되게 됐다.
시는 국토해양부가 한 장의 교통카드로 전국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교통카드 전국 호환 사업'(ONE CARD, ALL PASS)을 진행하는 데 맞춰 지난해 신교통카드 사업자(BC카드-삼성 컨소시엄)를 선정하고 올해 초부터 신교통카드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었다.
이에 따라 BC카드 측은 지하철에 신교통카드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존 교통카드 사업자인 카드넷이 영업하고 있는 버스에 대해서도 교통카드 호환을 요구해왔다.
하지만 카드넷은 2016년까지 버스조합과 교통카드영업 독점계약을 맺었다는 이유로 시스템 개방을 하지 않아 신교통카드는 '반쪽짜리 카드'로 전락했다.
실제 두 사업자 간 버스와 지하철 교통카드 시스템 공용에 대한 합의가 안 되면서 카드넷은 신교통카드 사업자가 시스템을 설치한 지하철은 대구도시철도공사와 2개월 단위로 계약을 연장해 카드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런 차에 대구은행이 카드넷과 인수계약을 맺음에 따라 두 사업자 간 시스템 호환과 정산시스템 합의과정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여 신교통카드 사업은 앞으로도 당분간 파행 운영될 처지다.
이에 대해 교통전문가들은 "대구시가 전국 호환이 가능한 교통카드를 만들고, 사업자를 선정하는 데 앞서 발생할 문제들을 꼼꼼히 살피지 않고 무계획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시민을 볼모로 교통카드 사업을 시행하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신교통카드 사업이 복수사업자 체제로 가더라도 시민불편은 없을 것이며 오히려 업체 간 경쟁으로 시민 편의가 나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춘수·임상준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