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화성표면 운석 채취기술 특허만 25개…세계최고" 야크베스 홍보팀장

허니비 로보틱스

아이린 이사가 회사를 소개하고 있는 가운데 그녀의 뒤로 우주공간을 재현해 주는 기계장치가 보이고 있다.
아이린 이사가 회사를 소개하고 있는 가운데 그녀의 뒤로 우주공간을 재현해 주는 기계장치가 보이고 있다.

주력 산업을 일반 서비스용 로봇 제조에서 우주 로봇으로 선회한 허니비 로보틱스사의 아이린 야크베스 홍보팀장을 어렵게 만났다. 전체 직원 35명에 연간 매출액이 70억원도 안 되는 작은 회사지만, 로봇을 제작하는 금형작업실부터 우주 환경을 재현하기 위한 진공실이 마련돼 있는 등 국내 굴지의 연구소를 능가하는 장비 규모에 놀랐다.

-왜 우주 로봇을 주력 산업으로 선택했는가.

▶회사의 미래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현재 우주 로봇 산업에 회사 역량의 90%를 쏟아붓고 있다. 우주 로봇은 회사에 더 많은 수익을 가져다주고 직원들의 기술력도 한층 높여 줄 것으로 확신한다. 우주 분야는 고부가가치 산업이기 때문에 기술력만 인정받으면 높은 수익이 보장되고 기술력 확보를 위해 회사 내 전 엔지니어들의 실력도 향상된다.

-허니비는 어떤 회사인가.

▶화성 탐사에 투입되는 로봇을 만들고 있다. 주력 제품은 굴착기 로봇이다. 화성 표면의 먼지를 털어내고 지하 깊숙한 곳의 운석을 채취하는 기술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이다. 관련 특허만 25개를 보유하고 있다.

-오바마 정부가 우주 사업 관련 예산을 삭감하고 있는데.

▶우주개발 프로그램 자체를 축소하는 것은 아니다. 금융위기 등으로 재정이 위축되니까 우주선 등 하드웨어에 투입되는 비용을 최소화하자는 취지이다. 따라서 우주 로봇과 관련된 R&D 예산은 지속될 것이다. R&D 쪽이 발전한다면 하드웨어 제작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우주 로봇 산업 시장에서 중요한 것은.

▶목표 의식이 중요하다. 현재 우주 로봇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우리 회사는 굴착 기능에 집중하고 있다. 록히드 마틴사 같은 굴지의 회사는 우리의 기술력에 감탄해 이제는 없으면 안 될 사업 파트너로 대하고 있다. 직원의 전문성도 필요하지만 과거 우주 프로그램을 보면서 터득한 정보 습득 능력도 중요하다. 아직까지 다른 행성에서 운석을 수집해 온 전례는 없다. 지구까지 가져오려면 아마 수십조원이 들어갈 것이다. 우리는 우리가 만든 로봇이 채취한 운석을 지구까지 가져오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하고 있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