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은 음식이 상하기 쉬운데다 피서 여행으로 집을 떠나 생활하는 경우가 많아 식중독 위험이 높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손 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 를 철저하게 실천해야 한다. 이동할 때는 음식물을 아이스박스에 보관하고 조리한 음식은 가능한 빨리 섭취해야 하며 육류와 어패류는 완전히 익혀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서지에서 김밥, 도시락 등을 사 먹을 경우에는 즉석에서 만든 것, 또는 10℃ 이하에서 보관된 것을 구입해 가능한 빨리 먹어야 한다. 상온에 오래 방치된 음식물은 미련없이 버려야 한다.
요즘은 휴가지에서 바비큐 등을 즐겨 먹는데 요리 준비과정에서 익히지 않은 고기와 날 것으로 먹는 채소류가 서로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 생고기에 있는 미생물이 야채에 옮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생고기를 집는 젓가락과 고기를 집어 먹는 젓가락을 구분해야 하고 생고기를 집은 젓가락으로 다른 음식재료를 집는 것도 삼가야 한다. 밤에 야외 바비큐 파티 등을 할 때는 특별히 주의해야 하며 이 사람 저 사람이 번갈아 고기를 굽는 것도 좋지 않다.
바닷가에서 낚시로 잡은 생선이나 조개는 어류의 표면, 아가미, 내장에 비브리오균이 오염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횟감을 손질할 때는 머리와 내장을 제거한 뒤 표면과 내부를 수돗물로 깨끗이 씻고 별도의 칼과 도마를 사용해야 한다.
물은 수돗물 또는 생수를 이용하고 지하수, 하천수 등은 반드시 끓여서 마셔야 한다. 휴가지에서 설사, 복통, 구토, 발열 등 식중독 증세가 있을 때에는 탈수증이 생기지 않도록 물을 충분히 마셔야 하고 가까운 보건소나 병원에서 치료받아야 한다.
한편 식약청이 2005년부터 5년간 발생한 식중독 건수 1천460건을 분석한 결과 8월에 187건(12.8%)이 발생했고 장염비브리오균과 병원성대장균에 의한 식중독이 각각 43건(23.0%)과 34건(18.2%)으로 가장 많았다.
도움말=농식품 안전정보서비스·식품의약품 안전청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