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앞두고 물가가 들썩이고 있다. 사육 두수가 늘어난 한우를 제외한 추석 제수용품 대부분이 지난해보다 최대 20%까지 값이 오를 것이라고 한다. 사과, 배 등 청과물은 올봄 냉해와 7월의 마른 장마 등으로 생산량이 줄면서 지난해보다 10~20% 오를 전망이다. 굴비, 멸치 등 수산물도 우리나라 연근해의 이상저온 현상에 따른 어획량 감소로 산지 가격이 20~30% 상승할 것이란 예상이다.
여기에다 원유, 곡물 등 국제 원자재값 상승에 따른 국내 소비자물가 인상 압박도 커지고 있다. 국내 양산 빵 업체들이 대형 소매점과 가격 인상 협상에 들어간 데 이어 아이스크림값 인상을 위해 대형 제과 업체들도 여기에 동참하고 있다. 양산 빵 업체들은 협상력이 낮은 동네 슈퍼마켓에는 이미 인상된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서민들 사이에서는 물가 불안 심리가 빠른 속도로 번져가고 있다. 일부 민간경제연구소는 현재 물가 상승 추이로 보아 올해 물가 억제 목표 3%는 유지하기 힘들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추석 전 물가 안정 종합 대책을 내놓겠다고 했지만 물가 상승 속도로 보아 그때까지 미룰 일이 아니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인플레 심리 차단을 위해서는 당장 대책이 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2분기 전국 2인 이상 가구 중 28.1%가 적자 가구였다. 경기는 확장 국면인데 서민들의 주머니는 여전히 비어있다는 것이다. 물가 상승은 이런 상황을 더욱 악화시켜 국민경제의 건전성을 잠식한다. 이런 상황을 타개하지 못하면 '친서민'을 외쳐봐야 냉소를 받을 뿐이다. 그런 점에서 물가 불안은 금융위기에 이은 MB 정부 경제 운영 능력의 또 다른 시험 무대이다. 친서민이 공허한 말 잔치에 그칠지 여부는 오직 정부의 대처 능력에 달렸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