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LG디스플레이, LCD CDM사업 세계 첫 유엔 승인

LG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LCD(액정표시장치) 제조과정에서 사용된 후 배출되는 온실가스인 육불화황(SF6)을 감축하는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청정개발체제)사업에 대한 유엔(UN)의 승인을 획득했다.

이에 따라 LG디스플레이는 18일 구미국가산업단지 구미6공장에서 육불화황 분해 CDM사업 준공 보고회를 갖는다.

LG디스플레이는 100억원을 들여 구미6공장에 육불화황 저감설비를 구축하고 올 초 시험운전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육불화황은 LCD 패널 표면에 증착된 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인 건식 식각공정에 사용되는 기체로 지구온난화 지수가 이산화탄소의 2만 배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저감설비는 LCD 패널 식각공정에서 사용된 후 배출되는 육불화황을 대기 중으로 배출하기 이전에 1천20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해 분해하며, 이를 통해 연간 50만t 규모의 탄소배출권 확보가 예상된다.

이 같은 탄소배출권 규모의 판매액은 90억원 정도이며, 국내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05년 기준 5억9천400만t이다.

CDM사업의 가장 큰 장점은 무형의 탄소배출권을 수출 상품처럼 국제 시장에 내다 팔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LG디스플레이는 구미6공장에서 확보한 탄소배출권을 온실가스 감축의무국가의 기업 등에 판매해 수익을 얻게 된다. 탄소배출권은 유럽 기후거래소, 시카고 기후거래소 등 전세계 10여개 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다.

세계은행은 올해 세계 탄소배출권 시장의 규모를 1천500억달러로 예상하고 있으며 2012년엔 2천억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가 LCD분야 CDM사업에서 이 같은 성과를 얻게 된 건 LG상사와 협력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한 결과다. 구미·이창희기자 lch888@msnet.co.kr

※CDM사업은= 온실가스 감축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 교토의정서에서 제공하고 있는 감축 제도의 하나다. 교토의정서 상의 규제대상이 아닌 국가에서 이산화탄소(CO₂), 메탄(CH4), 아산화질소(N₂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 (SF6) 등 6개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활동을 하고 이를 통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하는 사업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