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전-한수원 통합 백지화' 정부 오늘 공식 발표

경주 방폐장 지원사업 다시 탄력

정부가 24일 오전 그동안 논란을 빚어 오던 한국전력과 한국수력원자력의 통합 여부와 관련, '통합하지 않는다'는 최종 방침을 공식적으로 밝혀 논란의 종지부를 찍었다.

매일신문이 한수원 이전 문제를 집중 보도하고 지역 82개 사회단체가 한전과 한수원 통합 반대를 여론화 하는 등의 노력으로 지난달 19일 한수원이 공기업 중 최초로 본사를 경주로 이전하고 업무를 개시했지만, 한전과 한수원 통합문제로 경주가 뒤숭숭했던 것.

이날 오전 정부 발표에 대해 경주시민들은 "늦었지만 정부가 약속을 지키려고 한 노력이 엿보인다"는 평가를 했다. 한전과 한수원 통합 백지화를 계기로 정부와 경주시 사이에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과 방폐장 건설 및 운영에 대한 협력이 급속도로 진전될 것으로 기대된다.

◆방폐장 지원사업 본격화

이날 발표로 이달 5일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과 최양식 경주시장이 체결한 방폐장 건설·운영 및 유치지역 지원에 관한 상호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가 효력을 발휘하게 됐다. 방폐장 건설을 위해 한수원 본사 이전, 특별지원금(3천억원), 반입수수료, 양성자가속기 사업 등 방폐장 유치지역에 대한 특별지원 사업이 당초 계획대로 원활히 추진될 수 있게 됐다.

특히 최양식 경주시장은 "방폐장 유치지역 지원 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55건의 사업 가운데 12건의 선도사업에 대해 최우선적으로 추진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에 따라 에너지박물관 및 컨벤션센터 건립, 방폐장 주변지역 상수도 확충, 감포항 종합개발, 경주역사도시 문화관 건립, 국민임대주택 건립 등이 우선 착수될 것으로 보인다.

이들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되고 동경주 주민들과 어민들에게 일정 부분 인센티브가 주어질 경우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이 이미 완공한 인수저장 건물에 방폐물이 반입될 수 있을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2014년에는 '확' 달라진다.

경주시민들은 방폐장 유치에 따른 인센티브 사업이 속속 마무리되는 2014년을 기대하고 있다.

한수원은 양북면 장항리에 본사 사옥을 건립하고, 2014년 9월 서울에 있는 본사를 경주로 이전한다.

현재 용인에 임시 본사를 두고 있는 방폐물관리공단도 경주 시내권으로 본사를 옮기기 위해 부지를 물색 중이다.

시내에 방폐물관리공단, 양북면에 한수원 본사가 이전하면 인구증가, 원전관련 방문객 증가 등으로 현재 침체에 빠져 있는 경주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원전관련 기업체가 경주로 대거 옮겨올 경우 경주는 원전특화단지로 자리매김하면서 고용창출, 인구증가, 경기활성화의 선순환 고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2단계 방폐장 처분방식에 대한 공론화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1단계 10만드럼은 동굴로 건설되고 있지만 비용, 효율성 측면을 고려하면 천층처분이 오히려 낫다는 여론도 만만찮다.

경주시 관계자는 "한수원과 방폐물공단이 경주로 본사를 이전하고, 선도사업이 어느 정도 추진되면 지역 발전효과가 확실히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수의 경주시민들은 "방폐장사업의 성공 여부는 신뢰확보에 달려 있다"면서 "한수원이 이전하고 방폐장이 차질없이 건설돼 지역경기가 살아났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경주·이채수기자 csle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