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부부인 터라 매주 주말이면 KTX를 타고 대구에 간다. 맞벌이를 하는 아내의 직장이 동대구역 근처라 함께 퇴근할 때가 많다. 평소 "고생 많았지"라며 반겨주던 그가 지난주엔 도끼눈으로 맞았다. "청문회 봤지? 조사하면 다 나와. 거짓말한 거 있으면 지금 말해!"
서슬 퍼런 위세에 순간 위축됐지만 책잡힐 만한 건 언뜻 떠오르지 않았다. 다행이었다. 하기야 얄팍한 월급봉투를 위해 하루하루를 근근이 사는 필부필부(匹夫匹婦)들이 뭐 그리 대단한 위계(僞計)를 꾸미고, 거짓부렁이를 늘어놓고, 죄송하다며 넙죽 엎드릴 일이 있을까. 내일이면 탄로 날 거짓말을 자신 있게 내뱉을 배짱도, 용기도 없다. 그러니 보통사람으로 사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정치인들은 그렇지 않은 모양이다. 눈 앞의 광영(光榮)이, 미래에 대한 욕심이 '잘못된 기억'과 '말 실수'를 자연스레 만들어내는가 보다. 이쯤 되면 낙마한 김태호 전 국무총리 후보가 할리우드 영화에서처럼 '인셉션'(Inception'주입)을 당한 게 아니냐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만하다.
김 전 총리 후보의 좌절은 자업자득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말 바꾸기와 거짓말이 '젊은 사람이 더 심하다'는 민심의 역린(逆鱗)을 건드렸다는 것이다. 곤경을 피하려 이리저리 갈지자걸음을 내딛다 결국 헤어날 수 없는 늪에 빠진 격이다. 청와대의 인사검증 시스템 부실 논란을 촉발시켰던 지난해 천성관 검찰총장 후보 내정도 같은 맥락이었다.
'정치인의 트레이드 마크'처럼 된 거짓말로 패가망신한 사례는 비단 우리 정치권만의 일은 아니다. 정치선진국이라는 미국에서도 허다하다. 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이 대표적이다. 이른바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그가 물러난 건 1972년 벌어진 도청장치 설치가 빌미였지만 "몰랐다"며 어물쩍 넘어가려다 대통령 자신이 무마공작에 나섰던 사실이 밝혀진 게 결정타였다. 빌 클린턴 전 대통령도 당시 백악관 직원이었던 모니카 르윈스키와의 스캔들에 대해 거짓 해명을 했다가 탄핵안이 가결되는 수모를 당했다.
이번에 기운 차게 승전고를 울린 민주당 등 야당도 속으로 두렵기는 마찬가지일 터이다. 이미 국민의 눈높이는 정치인들의 머리 꼭대기보다 더 높아졌다. 이율배반이 아닌지 두고 볼 일이다. 총리와 장관의 낙마 이후 내심 '어명'(御命)을 기다리고 있을 자칭타칭 여권 내 유력 후보들도 손사래부터 칠지 모르겠다. 거리끼는 일이 있다면 소리 없이 기권하는 게 그나마 체통을 지키는 길이다.
이번 청문회를 지켜보면서 가장 눈여겨봤던 후보자가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였다는 동료 기자들이 많다. 부동산 투기'위장 전입'배우자의 위장 취업'스폰서 등 '의혹 백화점'으로 불릴 만큼 문제가 많았기 때문만은 아니다. 그가 한때 언론에 몸담았었기 때문이다. 그것도 자신은 고위 공직자의 부동산 투기 문제와 도덕성에 신랄한 비판을 하면서 스스로에게는 '관대'했던 그 결말이 궁금해서였다. 장관 내정 직후 청와대 춘추관을 찾아 기자들에게 "앞으로 잘 부탁한다. 열심히 하겠다"던 그의 모습을 당분간 공석에서는 보기 힘들 것 같다.
하여튼 모두 초심으로 돌아갈 일이다. 타인에 의한 기억 주입이 아니라 자신 스스로 최면을 걸고 있는 건 아닌지 곰곰이 되짚어보면서….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