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스페셜 '아리랑의 숨겨진 이야기 고개' 편이 12일 오후 11시 10분에 방송된다
아리랑은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아는 대표적인 민요다. 그러나 조지 윈스턴, 폴모리 악단 등 유명 뮤지션들에게 칭송 받으며 연주되고 있다. 이들이 낯선 한국의 노래, 아리랑을 부르고 연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음악적으로 아리랑은 누구나 쉽게 부를 수 있고 어떤 장르의 음악과도 융합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아리랑의 가치를 재발견해보는 시간을 마련한다.
우리 민요 아리랑이 일본 사람들에 의해 세계 대회 1등을 했다. 10년 전 한국 여행에서 우연히 아리랑을 들은 일본인 선생님이 아리랑을 본격적으로 배운 뒤 그가 가르치는 학생들로 이뤄진 카시와 오케스트라 단원들에게 연주를 시키기 시작했다고 한다. 미국 미시간 주의 한 교회 예배시간. 우리의 아리랑 멜로디가 찬송가로 불린다. 한국을 상징하는 민요가 어떻게 세계인들이 함께 부르는 찬송가로 실릴 수 있었을까? 1990년 찬송가 편찬 위원회에 제출된 후보곡만 3천여 곡. 편찬위원회의 전원 찬성을 이끌어 냈다. 아리랑을 한번도 들어 본 적 없는 6~10살 사이의 미국 아이들에게 아리랑을 가르쳐봤다. 놀랍게도 노래를 두세 번 듣자, 멜로디를 기억해 '허밍'으로 아리랑을 부르기 시작했다.
아리랑은 누구의 노래도 아닌 한국인의 노래다. 그러나 아리랑은 구슬픈 민요로 박제될 위기에 처해 있다. 아리랑은 세계의 많은 뮤지션들이 인정하는 아름다운 멜로디를 가진 음악이다. 그 아름다움 음률과 밝은 정서를 복원할 때, 아리랑은 살아 움직이는, 진짜 한국인의 노래가 될 것이다.
이동관기자 dkd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