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세에 영웅이 나타남은 역사의 배려이다. 임진왜란의 영웅이라면 단연 충무공 이순신이지만 젊은 나이에 육지에서 왜적에 무명(武名)을 떨쳤던 이가 충의공(忠毅公) 정기룡(鄭起龍'1562~1622) 장군이다. 1586년 선조 때 무과에 급제한 후 임진왜란이 터지자 별장으로 승진, 거창전투에서 왜군 500여 명을 격파했고 금산전투에서는 상관인 조경을 필기단마로 구출한 모습이 삼국지의 조자룡이 유비의 아들 유선을 구하는 모습과 흡사해 '임진왜란의 조자룡'이란 별명을 얻었다. 한때 곤양의 수성장이 돼 왜군의 호남진출을 막는 결정적 공을 세웠고 진주대첩 등 굵직한 전투에서도 크게 기여했다.
정유재란 때는 고령에서 적 장수를 생포해 병마절도사가 됐고 1598년 오늘 정기룡이 이끈 조선군은 왜장 시마즈군이 주둔한 사천고성을 포위, 야습을 단행해 수많은 적의 수급을 베었다. 이후 성주, 합천, 초계, 의령 등 여러 성을 탈환하는데도 성공했다.
활약으로 보아 당연히 선무공신이 돼야 마땅하나 왜란이 끝난 시점 그의 나이 마흔도 채 안된 상태로 정치적으로 그를 경계한 선조의 질투심 탓에 선무공신엔 선발되지 못했다. 1617년 삼도수군통제사 및 경상우도수군절도사에 올라 재직 중 1622년 통영 진중에서 병사했다. 현재 상주시 사벌면 금흔리에 묘가 있으며 충의사에 배향돼 있다.
우문기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